우리는 매일 슬픔 한 조각을 삼킨다 - 삶에 질식당하지 않았던 10명의 사상가들
프레데리크 시프테 지음, 이세진 옮김 / 문학동네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슬픔이라는 단어에서 풍기는 이미지는 무엇일까? 곰곰이 생각해 보아도 딱히 한 마디로 정의내리기가 쉽지 않다. 사전을 찾아보니, 자신, 또는 남의 불행이나 실패의 경험, 예측 또는 회고(回顧)를 수반한 억울한 정서라고 쓰여 있다. 그래도 뭔가 흐릿하다는 느낌을 벗어버리지 못하겠다.

 

프레데리코 시프테, 이름도 낯선 어느 프랑스 고등학교 교사이자 철학가의 이야기가 슬픔에 대한 궁금증을 불러일으켰다. 프리드리히 니체, 페르난두 페소아, 마르셀 프루스트,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미셸 드 몽테뉴 등 철학자 10인의 문장으로 슬픔에 대한 화두를 던진다.

 

저자가 뽑은 10명의 철학자들을 보고 있으면 어딘지 모르게 염세주의적 분위기가 물씬 풍긴다. 저자 역시 스스로를 이들과 비슷한 염세주의자라고 말한다. 어떤 면에선 나와도 비슷하다는 생각도 든다. 특히 어울리고 싶지 않은 사람들과 한자리에 있어야 한다면 소설책이나 에세이집을 가지고 가서 책에 몰두한다는 저자의 말에 무척 공감이 간다.

 

우리나라처럼 예의를 중시하고 상대방의 말을 존중해서 들어야 하는 사회에서 저자의 행동은 불쾌한 감정을 불러일으킬 수밖에 없지만 때로는 그런 탈출구가 필요하다. 나뿐만이 아니다. 많은 이들이 그렇다. 그렇기에 요즘 사람들은 거북스러운 상황이나 사람 앞에서 때로는 스마트폰에 몰두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스마트폰 게임이나 톡에 중독된 경우일 수도 있다. 하지만 저자가 말한 형이상학적 자리 비우기에 공감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어쩐지 그런 모습이 슬프다는 느낌이 떨쳐지지가 않는다.

하루의 3분의 2를 자기 마음대로 쓰지 못하는 사람은 노예이다, 니체의 이 말이 또한 나를 슬프게 한다. 아니, 대부분의 사람들이 슬퍼지지 않을까? 이 말에 자신 있게 아니라고 반박할 수 없기에 더욱 슬퍼진다. 아침에 일어나서 잠자리에 드는 순간까지, 나를 위한 시간은 거의 없다. 무언가에 얽매인 채 다람쥐 쳇바퀴 돌 듯 하루하루를 보낼 뿐이다. 그러기에 때로는 옛사람들이 부럽다. 한량이라 불리던 그들이 무척 부럽다. 자신을 찾을 수 있었던 이들이었기에 더욱 부럽다.

 

타인과 다르지 않는 삶이 행복한 삶이라고 말하는 현대인들, 자신을 들여다볼 엄두조차 내지 못하는 현대인들의 슬픔이 담긴 이야기였지만, 한편으로는 슬픈 자화상을 보고 정화된 듯한 느낌도 적지 않다. 마치 나 자신의 고독을 찾아 떠날 채비를 갖춘 것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