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인 이야기 - 신에게 상처받은 영혼을 위하여
이상준 지음 / 두란노 / 2014년 9월
평점 :
품절


가인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는 살인자이다. 동생인 아벨을 죽인 인류 최초의 살인자. ‘믿음으로 아벨은 가인보다 더 나은 제사를 하나님께 드렸다는 히브리서의 말씀처럼 가인의 제사와 동생 아벨의 제사가 비교되고 이 때문에 가인은 결국 동생인 아벨을 죽이고 만다.

 

동생을 살인한 자라는 이미지 외에는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하던 가인을 재조명해서 살펴본 책 <가인 이야기>는 다른 사람의 이야기가 아니었다. 바로 나 자신의 이야기였다. 이 책을 보며 나의 마음속에도 가인의 모습이 담겨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하나님의 존재를 알면서도 자신의 불행을 하나님의 탓으로 돌리고, 자신은 상처 입은 피해자라고 생각하는 사람들. 자신의 삶을 스스로 일구겠다고 다짐하며 하나님을 멀리 떠나버린 사람들. 자신에게 주어진 고통 때문에 하나님을 미워하고 의심하는 사람들. 이들은 모두 가인과 같은 존재들이다.

 

하나님은 가인을 사랑하셨다. 그렇기에 하나님은 가인이 돌아서기를 기대하시며 기다리셨다. 가인에게 세 번이나 돌아설 기회를 주셨다. 하나님은 등을 돌리고 떠나는 가인을 보시면서도 여전히 그에게 기회를 주고 싶어 하셨다. 가인에게만 그러신 걸까? 우리에게도, 우리 주변의 사람들에게도 하나님은 지금도 돌아오라고 말씀하시며 기다리고 계신다.

 

하나님의 울타리를 벗어나고자 했던 가인의 후손이 종국에는 다른 신의 울타리를 기대하며 우상 숭배를 하는 자들로 변질되고 결국 노아의 홍수라는 심판과 더불어 세상에서 사라진다. 이들에게 내린 심판이 언젠가는 우리에게도 이루어질 것이다. 그 심판의 날, 우리는 가인처럼 하나님께 분노하고, 하나님을 부정하고, 하나님을 의심하고, 우상숭배에 빠진 자들로 심판을 받을지, 하나님께 돌아가 하나님의 사랑 안에서 영원한 천국을 누리며 살지를 분명히 해야 할 때가 되었다.

 

가인의 이야기를 한 편의 소설처럼 풀어나가 상당히 흥미롭게 읽었다. 마지막 극적인 반전을 위한 조치로 생각되기는 했지만 하나님 대신 신이라는 표현을 써서 조금 아쉽기는 했지만 많은 부분에서 가인과 같은 마음을 품었던 내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되어서 너무나 감사한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