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학 수업 - 우리가 다시 삶을 사랑할 수 있을까
에리카 하야사키 지음, 이은주 옮김 / 청림출판 / 2014년 10월
평점 :
절판


어렸을 때부터 죽음에 대한 관심이 상당히 많았다.

죽고 나면 우리는 어떻게 되는 걸까?

죽음 뒤에도 나를, 가족을 , 친구를 기억할 수 있을까?

아니면 죽음 뒤에는 아무 것도 없는 공허한 상태, 나를 잃어버린 상태가 되는 걸까?

아주 어린 나이에도 이런 생각을 하다보면 너무나 무섭고 두렵다는 마음이 가시질 않았다.


바쁘게 살다보니 죽음이란 단어가 머릿속에서 사라졌다.

그러다 얼마 전에 예전에 함께 일하던 직장 동료분이 패혈증으로 세상을 떠나셨다.

나보다도 몇 년 아래였던 분의 갑작스런 죽음에 당황스럽고 착착한 마음이 가시지 않았다.

그때 눈에 들어온 책이 바로 죽음학 수업이었다.


처음에는 그냥 책 제목으로 수업이란 표현을 쓴 줄 알았다.

그런데 읽다보니 진짜 죽음학 수업이란 과목이 있고 이 수업을 진행하는 교수가 노마 보위 박사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녀의 수업은 3년 치 수강분이 마감되었을 정도로 유명하다고 한다. 도대체 어떤 수업이기에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그녀의 수업에 열광하는 것일까?


이 책은 그녀의 수업을 참관한 전직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기자이자 현재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 캠퍼스 문학 저널리즘 프로그램 조교수인 에리카 하야사키가 쓴 글이다. 그녀는 노마 교수의 수업을 참관한 내용을 이야기식으로 풀어쓴다. 그녀의 수업을 들었던 실제 인물들의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우리의 삶 속에서 드러나는 죽음이 무엇인지, 또한 죽음에 대비한 삶은 무엇인지를 알려준다. 케이틀린, 조나단, 이스라엘, 아이시스 등이 겪은 죽음은 우리 주변에서 흔하지는 않다고 할지 모르지만 또한 아주 멀리 동떨어진 일도 아니다. 노마 교수는 다양한 수업 방식으로 수업을 듣는 학생들이 죽음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세상을 떠난 누군가에게 쓰는 작별 편지, 검시소에서 죽음을 보고 다시 돌아가고 싶은 시기가 언제인지, 무엇을 바꾸고 싶은지를 써보는 되감기 버튼, 어린 시절의 자신에게 쓰는 편지, 사형제도에 대한 입장 표현 등 그녀의 수업은 현장과 작문 등으로 학생들이 깊은 사고를 하도록 유도한다

 

죽음은 누구에게나 다가온다. 또한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들도 결국은 죽음이라는 여정을 거칠 수밖에 없다. 물론 나는 예수님을 믿기에 영생, 부활을 믿는다. 우리의 육체적 죽음이 끝이 아니라고 믿는다. 하지만 죽음과 비교해 우리의 현재 삶도 역시 사랑해야 한다. 삶은 우리에게 주어진 분명한 선물이다. 그 선물을 어떻게 사용할지, 어디에 사용할지는 전적으로 자신의 문제이다.


만약 자신을 사랑하고, 타인을 사랑하는 삶을 살지. 자신도 남에게도 모두 어렵고 힘든 상황으로 몰아가는 불운한 삶을 살지 선택하라는 질문이 던져진다면, 당신은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당연히 자신의 삶을 사랑하고 타인을 사랑하는 삶을 살지 않겠는가? 그런 의미에서 죽음학 수업은 삶의 사랑학이라는 또 다른 이름으로 부를 수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