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우
정재영 지음 / 해드림출판사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은 재개발로 아파트 단지로 변해버렸지만 어렸을 때는 여러 집들이 다닥다닥 붙어있던 동네에서 살았다. 그러다 보니 옆집에서 무슨 일이 있는지 모르려고 해야 모를 수가 없었다. 집에 아픈 사람이 있거나 하는 일이 잘 안 풀리거나 하면 굿을 하는 집들이 있었다. 우리 가족들은 기독교인인지라 굿이 무엇인지 알지 못했는데 이웃집에서 들려오는 소리에 몰래 가본 적이 있었다. 소리에 맞춰 방울을 단 칼을 흔들며 춤을 추는 무녀의 모습은 상당히 낯설면서도 강렬한 인상을 심어주었다.

 

정재영의 소설 <바우>는 저자의 단편 8편을 묶은 소설집이다. 이 책에 담긴 내용들은 지금은 보기 힘든 옛날 일들이 많이 있었다. <>라는 작품에 묘사된 산당굿은 지금은 자주 볼 수 없는 그 무언가를 떠올리기에 충분할 만큼 세밀하게 묘사되어 있었다. 또한 <바우>에서 나오는 동짓달 팥죽도 어렸을 때 즐겨먹던 팥죽을 떠올리게 만들었다. 팥이 좋다는 이야기에 팥죽 전문점이 생기는 추세지만 그 옛날 어머니가 끓여주시던 그 팥죽만 할까? 특히 빼대기라 불리던 고구마 말린 것을 넣은 팥죽은 뭐라고 말로 표현하기 어려울 정도의 풍미를 갖추고 있었다. 이처럼 8편의 작품들에는 우리 주변에서 사라진 혹은 변해버린 옛 정취가 많이 담겨있다. 또한 문학평론가 신호님의 말처럼 이 작품들에는 토박이 표현들이 많이 나온다. 전혀 이해할 수 없는 단어들도 있지만 구수한 냄새가 물씬 풍기는 그런 표현들이 너무나 정겹게 다가온다.

 

함께 사는 길을 모색한다는 작가의 말처럼 <동지섣달 꽃 본 듯이>에는 40년 만에 만난 동창들 사이에서 보여주는 따뜻함과 푸근함이 넘쳐난다. 요즘 밴드를 통해 초등학교 동창들을 만난 경험 때문일까? 기억도 나지 않지만 어렸을 때 함께 했다는 그 이유 하나만으로도 너무나 즐겁고 편안했던 시간들을 작가의 작품을 통해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었다.

 

하지만 함께 사는 길과는 완전히 달라 보이는 작품도 있다. <그 여름의 잔해>에서 보이는 토종벌과 양벌의 모습은 왠지 모르게 우리네 삶과 달라 보이지 않는다. 몸통도 크고 색깔도 완연히 다른 양벌이 토종벌의 벌통을 빼앗으려 드는 모습은 우리네 서민의 삶을 빼앗으려 드는 무언가가 떠오른다. 결코 함께 살고자 하지 않는, 모든 것을 빼앗으려 들기만 하는 그런 존재.

 

작가의 말처럼, 소외된 인간들을 관심과 애정으로 살피는 길, 그 길이 바로 우리가 함께 사는 길임은 분명하다. 그렇다고 이 길이 결코 작가의 길만은 아니다. 우리 모두가 함께 해야 할 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