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식 - 현대과학의 최전선에서 탐구한 의식의 기원과 본질
크리스토프 코흐 지음, 이정진 옮김 / 알마 / 2014년 8월
평점 :
품절


의식이 뭐냐고 물어본다면 뭐라고 답해야 할지 참으로 난감하다. 언뜻 데카르트의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는 문구에 담긴 생각한다라는 의미로 여겨지기도 하고, 세상이나 삶을 바라보는 나만의 시각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하지만 이 정도의 정의로는 의식이라는 용어를 너무 제한적으로 설명하여 뭔가 중요한 부분이 빠진 듯한 느낌이 강하게 든다.

 

의식에 관한 과학적 연구의 개척자 중 한 명인 크리스토프 코흐는 DNA 이중나선구조 발견으로 유명한 프랜시스 크릭과 함께 의식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의식하면 왠지 인문학적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한다고 할 때 저자는 과학적 연구를 통해 이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이 책은 의식에 대한 과학적 고찰 뿐 아니라 저자의 삶과 연구 과정을 돌아본 일종의 회고록이기도 하다. 특히 가톨릭 집안에서 자라 신에 대한 믿음을 가지다 이를 버리게 된 과정은 2장 개인적인 이야기에서 뿐 아니라 책 전반에 걸쳐 이야기하고 있다.

 

앞서 말했듯이 의식에 대한 정의는 쉽지 않다. 저자 역시 의식에 대한 정의가 쉽지 않다고 말한다. 그는 의식에 대한 4가지 정의(‘상식적 정의’ ‘행태론적 정의’ ‘신경 단위적 정의’ ‘철학적 정의’)를 제시하면서 이 4가지 정의가 각각 의식의 단면들을 설명해 주지만 실용적인 차원에서는 행태론적, 신경 단위적 정의가 가장 유용하다고 말한다.

 

의식은 분명히 뇌와 관련이 있다. 그렇지만 의식에 대한 모든 것을 과학적으로 증명하는 일은 아직 요원한 상태이다. 물리주의의 질적 결핍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기에 마음의 기원을 설명하는 일도 가능하지 않다. 이에 대해 저자는 유일하게 확실한 답은 과학에서 나온다고 말하면서 과학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

 

저자의 생각은 진화론적 관점을 가진 과학자의 견해이다. 하지만 종교적인 관점을 바라보는 그의 생각에는 솔직히 동의하기가 어려웠다. 저자는 과학과 종교는 양립하기 어렵다고 말한다. 과연 그럴까? 과학은 종교에서 말하는 내용들을 증명하는 한 방편이다. 저자의 말처럼 과학적으로 모든 것이 증명되지 않았듯이, 종교에서 말하는 내용들도 과학적으로 모두 증명하지 못했을 뿐이다. 또한 육식에 대해 말하며 십계명을 인용한 부분은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가 되지 않는다. 저자의 말처럼 인간과 다른 지각 체계지만 동물들도 자각 능력이 있기에 이를 먹지 말아야 한다면 동물 간의 먹이사슬 관계는 과연 무엇이라고 생각해야 하나? 자각 있는 동물들이니 서로를 잡아먹지 말아야 하는 것은 아닐까? 동물적 본능이라고 친다면 인간도 동물적 본능을 가지고 있을 뿐이지 않은가? (물론 저자가 말하는 열악하고 잔인한 사육방식에는 당연히 반대한다).

 

어렵지만 새롭고 다양한 생각들이 주는 즐거움에 빠져 재미있게 읽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