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안의 식민사관 - 해방되지 못한 역사, 그들은 어떻게 우리를 지배했는가
이덕일 지음, 권태균 사진 / 만권당 / 2014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국사 국정 교과서 문제로 나라 안이 시끄럽다. 역사를 바라보는 시각이 서로 다른 이들이 부딪치다 보니 자신의 견해가 옳다는 주장만 내세우며 한쪽은 국정 교과서로 통일해야 한다고 하고 다른 한쪽은 그럴 필요는 없다고 하면서 그저 끝없는 평행선만 이어나간다.

 

하나의 역사적 사건을 바라보는 시각이 다를 수도 있음은 우리가 직접 목도한 일이 아니기에, 또한 삶을 바라보는 주된 시각이 다르기에 역사를 해석하는 시각이 나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인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가능한 한 문헌을 통해, 또한 고고학적 자료 등을 통해 정확한 역사적 진실을 알려야 하는 건 앞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후세를 위해 결코 포기할 수 없는 의무이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우리 역사에서 두말할 것도 없이 잘못된 사관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은 바로 식민사관이다. 일제에 의해 강요된 식민사관은 당연히 역사적 진실과는 거리가 멀다. 그렇기에 식민사관의 잔재를 철저하게 뿌리 뽑고 온전한 역사관으로 반드시 대체해야 한다.

 

하지만 현실은 어떨가? 과연 우리의 역사 교육이나 인식에서 일제가 남긴 식민사관이 모두 사라진 것일까? 이에 대해 저자는 결코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 조선총독부 조선편수사 출신들과 그 후학들이 학계를 꽉 움켜진 채 여전히 식민사관을 암암리에 전파하고 있다. 우리가 당연히 그러리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과는 전혀 다른 상황이다. 학계에서는 민족주의 사관은 비뚤어지고 왜곡된 사관으로 여겨지고 일본 학자들에 의한 식민사관이 은연중에 당연한 역사관으로 인정받는다. 참으로 통탄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식민사관으로 대변되는 두 가지 사안은 한사군의 위치와 삼국사기 초기 기록 불신론이다. 그 중 한사군의 위치와 관련해서 식민사관은 한사군의 위치가 평양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에 대한 사료는 전혀 없다. 이는 당연히 그럴 수밖에 없다. 식민사관은 역사적 근거를 토대로 한 이론이 아니라 조선총독부에서 만들어낸 정치 이론이자 정치 선언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런 역사관을 가진 자들이 대한민국의 주류 사학계를 좌지우지 한다는 것이다. 황당하기까지 한 사실은 중국의 동북아공정에 맞서 대한민국의 역사를 올바르게 주장해야 할 동북아역사재단이 오히려 중국과 일본의 대변인처럼 행동한다는 점이다. 더 웃긴 사실은 올바른 역사를 후세에 알리기 위한 중고교 선생님들의 <동북아 평화를 꿈꾸다>라는 수업보조 자료를 학연과 언론을 등에 업은 채 잘못된 내용이라고 정정을 요구했다는 것이다.

 

저자의 말처럼 역사적 진실이 한사군의 위치와 삼국사기의 오류를 말한다면 우리는 당연히 이를 받아들여야 한다. 그렇지만 아무런 사료나 증거 없이 자신의 자리를 보전하는데 급급해 일본 제국주의가 심어놓은 식민사관을 지지하면서 올바른 민족사관을 가진 학자들을 암암리에 학계에서 배척하는 자들이 있다면 지금이라도 당장 그 자리에서 물러나야 한다. 또한 저자의 제안대로 공개적인 논쟁에 참여해 옳고 그름을 분명하게 따져야 한다. 이곳은 일제 조선총독부 치하의 대한제국이 아니다. 이곳은 대한민국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