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한 아이
정승구 지음 / 21세기북스 / 201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가 영화감독이라서 그런가? 소설은 처음부터 마지막 장면까지 독자를 쉬지 않고 재촉한다. 사건에 사건이 더해지면서 결코 긴장감을 늦추지 못한 어떤 결말로 이어질지 미친 듯이 솟아오르는 궁금증에 날이 밝는 줄도 모르고 책장을 넘기게 된다.

 

 

영원한 아이, 제목에서 주는 느낌은 왠지 모르게 따사로운 가족 이야기 같아 보인다. 그렇지만 책의 장면부터 이런 나의 상상은 여지없이 깨져버리고 말았다. 책은 머리에 총을 맞은 주인공 바우가 돌팔이 의사에게 자신의 생명을 맡기는 장면에서 시작한다. 영화 제작을 염두에 두고 작품인지는 모르겠지만 장면이 이미 마음을 쥐어 잡았다( 장면은 소설 중간 부분에서 다시 나온다).

 

 

책은 과거와 현재를 넘나들며 주인공 바우의 성장 과정과 바우가 살던 고향의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살인자로 몰린 바우가 처한 현재 상황을 동시에 보여준다. 그러면서 과거와 현재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독자가 이해할 있도록 이끌어준다.

 

 

소설의 흐름은 사실 단순하다. 바우가 다니는 대기업 신도 그룹의 신호 회장 아들인 동훈이 저지른 살인사건을 처리하던 바우가 오히려 살인 사건의 용의자로 경찰의 추적을 받고, 경찰에서 바우의 지갑을 훔친 전직 기자 민주, 또한 그녀가 데리고 있던 왕눈이와 엮이면서 사건이 점점 미궁 속으로 빠져든다. 한편 바우가 어린 시절을 보낸 마을의 사람들은 염력을 사용하는 초능력자들이 모여서 살고 있었는데 이들은 군부대의 관리를 받는 통제된 삶을 살아가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군부대와 마을 주민 간에 예기치 못한 총격전이 벌어지며 바우는 결국 고향을 떠나게 된다.

 

 

흥미로운 주제의 소설이지만 단순히 독자에게 즐거움만 주는 소설은 아니다. 소설 인물인 신도 그룹의 신호 회장이나 윤성준 박사의 모습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들은 자신의 신념에 따라 세상의 기준으로 도저히 받아들일 없는 일도 서슴없이 저지른다. 이들은 자신들의 생각이 잘못되었다는 생각을 전혀 하지 않는다. 자신의 생각이 옳기에 자신의 행동도 옳다는, 대의를 위해 약간의 희생은 불가피하다는 논리를 펼친다. 우리 주변에서도 이들과 같이 생각하는 사람들은 종종 보게 된다. 다른 사람의 생각은 필요 없이, 사회의 기본 윤리나 사고도 필요 없이, 자신이 생각하기에 옳으면 어떤 행동에도 너무나도 당당한 이들. 자신만이 옳다고 여기는 이들. 또한 이런 사람들을 보면 쉽게 흥분하지만 또한 쉽게 잊어버리는 우리네 모습들.

 

 

허구인 , 사실인 듯한 이야기 속에 재미있는 이야기도, 아름다운 이야기도 함께 담겨 있는 소설이다. 영화로 나와도 다시 재미있게 있을 같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