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음
강상중 지음, 노수경 옮김 / 사계절 / 2014년 8월
평점 :
절판
올해 읽은 책들 중에 상당수의 책들이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었다. 그만큼 죽음이라는 소재는 우리의 삶에서 떼어놓을 수 없는, 아니 사람이라면 누구나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는 이야기이다. 나 역시 어렸을 때부터 이상하게 죽음이라는 말에 너무나 민감해지곤 했다. 잠자리에 들면서 혹 내일 아침에 일어나지 못하면 어떻게 하나, 만약 죽는다면 죽음 뒤편에는 과연 무엇이 있을까, 죽은 뒤에도 이 세상에서의 삶을 기억할 수 있을까, 혹 지금 내가 경험한 모든 것을 잊어버리게 된다면 너무 슬플 것 같다는 생각을 하곤 했다. 모든 이들의 관심을 끄는 죽음이란 과연 무엇일까?
친구 요지로의 죽음으로 혼란에 빠진 니시야마 나오히로가 작중인물 강상중에게 쪽지를 건네면서 죽음에 대해 강상중의 조언을 구한다. 강상중은 먼저 떠나버린 아들을 생각하며 나오히로에게 이메일을 보내 죽음의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전한다. 이후로도 메일을 통해 서로의 생각을 나누던 중 나오히로가 폐허가 된 X시에 자원봉사를 나가게 된다. 그곳에서 수많은 시체들을 접한 나오히로는 친구의 죽음과는 달리 아무런 의미 없어 보이는 시체들 속에서 죽음의 의미에 대해 다시 한 번 혼란스러움을 겪는다.
작가는 나오히로와 강상중의 이야기를 통해 죽음이란 결국 살아남은 사람들의 마음이라고 말한다. 죽음이라는 것이 삶을 빛나게 해준다고 말한다. 결국 죽음과 삶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이다.
전에 이야기한 ‘메멘토 모리’라는 말처럼, ‘죽음’의 의미를 발견할 수 없다면 ‘삶’의 의미도 발견할 수 없는 것입니다. 죽음을 은폐하고 이 세상 구석으로 쫓아버린 채 ‘삶’만을 칭송하는 일은 가능하지 않습니다. (p.173)
죽음과 관련해 올 해 읽은 책들의 대부분이 유사한 결론을 내리고 있다. 죽음이란 끝이 아니라 살아남은 이들의 기억 속에서 영원이 지속되는 무언가라고. 살아남은 자들은 자신의 삶을 열심히 살아야 한다고. 살아가면서 다른 사람과의 소통과 교제로 새로운 기억을 다시 만들어가야 한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