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 불멸의 신화
조정우 지음 / 세시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장 이슈가 되었던 하나는 영화 <명량> 흥행일 것이다. 1700만이 넘는 관객이 영화를 관람하면서 역대 가장 많은 관객을 동원한 영화라는 기록을 세웠다. 누군가는 참된 리더를 찾는 대중의 기대감이 명량 신드롬을 불러일으켰다고 분석하면서 이상적인 리더의 표본이라고 만한 이순신 장군에 대한 조명이 다각도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한다. 그래서 그런지 <그러나 이순신이 있었다> <명량> <전쟁의 , 이순신> 이순신 장군과 관련된 책자들이 적지 않게 출판된 같다.

 

저자마다 이순신 장군을 그려내는 방법은 달랐다. <명량> 이순신 장군의 인간적 고뇌를 묘사한 작품이다. 반면에 작품 <이순신 불멸의 신화> 이순신 장군의 전투 전략에 치중해서 묘사한 작품이다. 거북선을 만드는 장면으로 시작해서 23 23승의 신화를 일궈낸 전투들을 보여준다. 작품에도 백성을 사랑하고 아들로서, 남편으로서, 또한 아비로서의 이순신 장군을 그리고 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작가가 보여주고 싶은 이순신 장군의 모습은 각각의 전투를 이끌며 어떤 전술을 사용하였는지에 맞춰져 있다.

 

육전에서 사용하던 학익진을 해전에 응용한 전술, 바다의 밀물과 썰물의 정확한 흐름을 파악해서 전투에 활용한 전술, 두려움을 용기로 전화시킨 전술, 백성들이 부른 강강술래로 적장을 속인 허허실실의 전술 이순신 전투에서 사용한 전술은 사람과 자연 활용할 있는 주변의 모든 것을 이용한 천재적인 이순신 장군의 지략을 보여준다.

 

이순신 장군이 뛰어난 전술로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던 점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이순신 장군에게 있었던 가장 능력이라면 백성들의 자발적인 도움과 흩어졌던 장수들과 병사들을 불러들였던 능력이 아닐까 싶다. 백성들과 군사들의 절대적인 지지와 신뢰를 받았던 이순신 장군이기에 강강술래라는 허허실실의 전략도 가능했을 것이다. 자신이 앞장 싸움에 임했기에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싸움에 임했던 마하수 부자와 같은 이들이 있었던 것이다.

 

길지 않은 책이지만 이순신 장군이 사용한 전투 전략을 눈에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인상적이었다. 논문이나 인문학 책의 형태가 아니라 소설 형식이기에 전투 전략에 대한 이야기를 쉽게 읽고 이해할 있다. 조금 상세하게 설명했어도 좋았을 거라는 약간의 아쉬움도 남았지만 세계 전투사에 길이 남을 명장 이순신 장군의 전술에 대해 있어서 너무나 깊은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