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후 네 시
아멜리 노통브 지음, 김남주 옮김 / 열린책들 / 2012년 11월
평점 :
품절
오후 네 시.
나른함이 온 몸에 흘러내리는 이 시간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누군가의 방해 없이 자신만의 평온함을 누리고 싶어 할 것이다. 특히 직장에서 은퇴한 후 번잡한 모든 일에서 벗어나 한적한 자신만의 공간에서 자신만의 시간을 누리고자 한다면 더욱 그럴 것이다. 나만의 공간에서 나만의 시간을 보내고자 할 때 누군가가 자신을 찾아온다면, 그것도 하루도 빼놓지 않고 매일같이. 그렇다고 찾아 온 그 시간에 무언가 즐거운 소일거리가 있는 것도 아니다. 그저 소파에 두 시간 동안 앉아있으면서 묻는 말에 그렇다, 아니다 정도의 답변만 하다 가버린다면 어떤 기분이 들까?
우리의 주인공 에밀과 그의 부인 쥘리에트가 <우리집>으로 이사 온 후 이런 일을 매일같이 겪게 된다. 이웃에 사는 베르나르댕이라는 의사의 방문이 처음에는 그저 예의상 찾아온 것이라 생각하지만 하루 이틀이 지나도 멈출 기미가 없자 에밀은 그의 방문이 점점 불편해지기 시작한다. 이를 피하기 위해 집을 비우기도 하고 어렵고 현학적인 주제를 말하기도 하지만 베르나르댕의 방문은 결코 멈추는 법이 없다. 점차 에밀과 베르나르댕을 둘러싸고 무언의 기싸움이 펼쳐지며 감춰졌던 본능적 모습들이 서서히 들어나기 시작한다.
소설의 내용은 그렇게 복잡하지 않다. 오히려 너무 단순한 플롯이라고 해야 할까? 하지만 그 속에는 알게 모르게 기묘함이 넘친다. 예의를 갖추어 이웃을 대하려는 에밀의 모습과 예의를 완전히 무시한 채 남의 집에서도 거리낌 없이 행동하는 베르나르댕은 서로 다른 존재처럼 보인다. 그렇지만 이들이 사는 집은 똑같은 모양이다. 이는 결국 그들이 본질적으로 서로 그렇게 다르지 않다는 무언의 암시는 아닐까?
사람은 스스로가 어떤 인물인지 알지 못한다. 자기 자신에게 익숙해진다고 믿고 있지만 실제로는 정반대이다. 세월이 갈수록 인간이란 자신의 이름으로 말하고 행동하는 그 인물을 점점 이해할 수 없게 된다.(p.9)
마지막 장면에 나오는 에밀의 모습을 보면 결국 사람은 자신이 알지 못했던 또 다른 인물을 그 속에 품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처음부터 있었던 존재인지, 누군가의 자극으로 새롭게 만들어진 존재인지는 모르겠지만.
아멜리 노통브의 소설을 보면서 한 편의 연극을 보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작품 속에는 단순하지만 긴장감이 넘친다. 알게 모르게 대립하는 두 사람의 모습이 날카로우면서도 재미있게 그려진다. 나라는 존재, 타인이라는 존재의 의미를 담은 쉽지 않은 작품이지만 독자로 하여금 쉽게 읽어나갈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작가의 탁월한 글솜씨가 드러나는 정말 즐겁게 읽을 만한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