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시대 - 역사상 가장 혁신적인 지혜와 만나다
김용규 지음 / 살림 / 2014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 사람들은 모르는 문제, 고민거리, 심사숙고해야 일들을 어떻게 해결할까? 답은 아주 간단하다. 네이버에 물어봐이다. 아주 간단한 문제에서부터 자신의 인생, 경력, 인간관계 모든 일들에 대한 답을 네이버, 다른 네티즌의 자문을 통해 찾는다. 결국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고, 연구하고, 공부하는 사람들도 많겠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상당히 늘어난 같다.

 

 

이뿐 아니다. 사회적 이슈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보면 우리 시대의 생각이라는 것이 얼마나 빈약한지를 있다. 이런 현상은 특히 SNS 관련이 있다. 누군가의 의견이 올라오면 트위터, 페이스북에 자신의 의견을 올린다. 여기까지는 좋다. 하지만 적지 않은 경우가 줄이나 정도로 자신의 의견을 올린다. 이를 가만히 들여다보면 사실 깊은 사고의 흔적이 보이지 않는다. 그저 누군가의 의견에 대한 여론을 좋다 혹은 나쁘다 라고만 말할 뿐이다. 자신에 의견에 반대하거나 여론에 반하는 댓글이 달리면 흥분해서 다시 덧글을 달지만 막상 논리적으로 말하는 이들을 찾아보기는 힘들다. 그저 다른 이의 의견을 되풀이하거나 단순한 욕지거리일 뿐이다.

 

 

이는 어떤 사건의 이면에 숨어있는 이야기를 추론할지 모르기 때문이다. 그저 팩트에만 반응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일지도 모른다. 기원전 8세기에서 5세기 사이의 생각의 시대에는 팩트 뒤에 숨은 이야기를 찾아가는 생각의 도구가 있었다. 바로 아르케(원리)이다. 아르케는 관찰과 사고라는 날개로 날아오른다. 추론(가추법) 아르케의 개인 사고의 방법이다.

 

 

저자는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는 생각의 시대에서 사용했던 5가지의 생각의 도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메타포라(은유), 아르케(원리), 로고스(문장), 아리모스(), 레토리케(수사). 다섯 가지가 조금 과장해서 말하자면 생각의 시대의 네이버이다. 아니 네이버 검색이 결코 좇아올 없는 탁월한 기능의 도구들이다.

 

 

오늘을 사는 우리는 그대로 지식의 홍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내게 정말 필요한 지식을 찾는 일이 결코 쉽지 않은 시대이며, 지식이 넘쳐나기에 오히려 지식을 활용하기 어려운 시대이다. 그렇기에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단순한 지식을 뛰어넘을 만한 것이 필요하다. 그것이 바로 5가지 생각의 도구이다. 앞에서 추론에 대해 잠시 살펴봤지만 우리에게 필요한 팩트를 보는 눈이 아니라 행간에 숨은 진실을 찾아내는 생각의 능력이 필요하다. 그것이 우리의 삶을 온전히 이끌어주는 능력이기 때문이다.

 

 

창의력은 어떠한가? 오늘날의 시대는 남들과 별반 다를 없는 생각을 가진 이들을 원하지 않는다. 기획서를 작성하든지, 새로운 프로젝트를 계획하든지, 신제품을 개발할 아이디어를 제공하든지 간에 남과는 다른 창의력을 가진 인재를 찾는다. 그렇다면 창의적인 생각을 가진 인재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바로 메타포라(은유) 통해서이다. 생뚱맞은 같지만 책을 읽어보면 그렇구나 라는 긍정의 끄덕임이 나올 수밖에 없다. 유사성과 비유사성을 사용하는 것이 은유이기에 그렇다.

 

 

얼핏 보기에 철학적인 개념인 담긴 어려운 책처럼 보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런 생각은 버려도 같다. 저자의 말처럼 책은 이론서가 아니라 도구별로 훈련법을 공개하여 현실적으로 활용할 있게 만든 실용서이기 때문이다. 실용적인 다섯 가지 생각하는 도구를 통해 당신의 생각이 올곧이 서는 경험을 해보기를 바라는 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