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구 청문회 1 - 독립운동가 김구의 정직한 이력서
김상구 지음 / 매직하우스 / 201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백범 김구는 신인가, 인간인가? 질문의 답은 분명하다. 백범 김구는 신이 아니다. 그렇다면 김구에게도 인간적인 잘못이나 실수는 분명히 있을 것이다. 100% 완벽하다는 말을 듣는 사람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렇기에 백범 김구에게도 사소하든 혹은 생각보다 훨씬 잘못이든 인간적인 잘못이 있을 있다. 그렇다면 백범 김구의 잘못은 무엇일까? 그리고 잘못은 과연 백범 김구의 잘못일까? 아니면 다른 누군가의 잘못일까?

 

저자는 우리가 알고 있는 백범 김구의 모습을 모두 사실로 받아들여서는 된다고 못을 박는다. 또한 백범일지에 실린 김구의 모습도 많은 부분에서 사실과 다르다고 주장한다. 일단 백범일지 부분만 생각해보자. 얼마 전에 읽은 책에서 내가 알고 있던 역사적 지식과는 전혀 다른 주장을 하는 책을 보았다. 율곡 이이의 십만 양병설에 대한 내용이다. <류성룡, 나라를 다시 만들 때가 되었나이다> 저자 송복에 따르면 율곡 이이는 십만 양병설을 주장한 적이 없다. 이는 오로지 율곡 이이의 후학들이 스승의 업적을 과대 포장하여 떠받치는 과정에서 나온 역사적 오류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백범일지 역시 이런 과정을 거친 것은 아닐까? 저자의 말에 의하면 백범일지는 친일파 이광수가 윤문(글을 윤색함)하였다고 한다. 이이의 십만 양병설처럼 백범일지를 윤문하는 과정에서 실제의 모습과는 전혀 다른 내용이 들어갔을 개연성은 충분해 보인다.

 

책의 저자 김상구는 나름대로 역사적 사료를 증거로 제시하며 김구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밝힌다. 하지만 저자의 주장들 중에는 객관적 사료로 증명된 부분이라기보다는 저자 나름의 추측인 경우도 적지 않다. 물론 저자의 추측이 전혀 근거가 없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고는 하더라도 객관적 사실이 아닌 부분마저 추측으로 밀어붙이는 모습은 도둑놈은 영원한 도둑놈이라고 단정하는 잘못된 시각은 아닐까?

 

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가 누군가에게는 진실이지만 다른 누군가에게는 거짓이 있기에 저자가 말하는 김구의 모습이 진실인지 아닌지는 각자가 판단해야 부분인 같다. 그렇지만 분명한 가지는 역사적 진실을 찾기 위한 노력을 결코 멈춰서는 된다는 것이다. 승자의 역사, 각색된 역사가 아닌 진정한 우리의 역사를 만날 때에야 우리에게도 희망찬 미래가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진실을 찾고자 하는 저자의 노력에 박수를 보내는 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