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의 석학들은 어떤 질문을 할까? - 스스로 새로운 생각을 이끌어내는 90가지 물음
필립 코틀러 외 지음, 허병민 엮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매일 스스로에게 이렇게 묻습니다.

 

표지에 실린 질문이 책의 모든 것을 말해준다. 책은 세계 90명의 석학들이 인생의 변화를 위해 던져야 하나의 질문을 정하고 그에 대한 그들의 생각을 모은 책이다. 처음에는 무슨 심오한 철학적 질문이나 우리가 흔히 들어오던 질문이 아니라 전혀 생각하지도 못했던 질문들이 아닐까 생각했다. 책에 실린 90가지의 질문 중에는 누구나 번쯤 품어봤던 질문도 있고, 우리가 재미 삼아서 서로에게 던지던 질문들도 있고, 정말 가슴 깊이 새겨보아야 질문들도 있었다.

 

90가지 질문의 내용은 서로 달랐지만 모든 질문들이 지향하는 바는 하나인 같다. 무엇보다도 자신을 올바로 알라는 것이다. 자신을 강하게 단련시키라는 것이다. 물론 질문들 중에는 자신만이 아니라 함께 시대를 살아가는 이들에 대해서도 고민해야 한다고 말하는 질문들도 있다. 하지만 모든 것의 토대는 결국 자신이 진정으로 어떤 존재인지, 나를 위해서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지, 어떤 목표를 가지고 살고 있는지, 목표를 이루는 목적은 무엇인지 자신에 대한 궁금증을 가지고 이를 풀어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때때로 다른 사람보다 내가 자신에 대해서 모른다고 느껴질 때가 있다.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모를 때도 있고, 화가 나는지 모를 때도 많다. 때로는 일을 하면서도 정말 하기 싫다는 생각을 하지만 막상 하고 싶은지는 알지 못한다. 나이가 들어갈수록 그런 같다. 자신을 바라보고 되새기는 시간은 전혀 가지지 않은 그저 다른 사람처럼 시간의 흐름에 몸을 맡긴 하루하루를 덧없이 흘려 보낸다.

 

책은 그런 자신을 채찍질할 있는 하나의 명상록이다. 그렇다고 책에 수록된 90개의 질문을 매일같이 모두 고민하라는 의미는 아니다. 분명 질문들 중에는 자신의 상황에 가장 맞는, 혹은 가장 공감되는 질문들이 있을 것이다. 아니면 이들처럼 자신을 찾는 자신만의 질문을 곰곰이 생각해보는 것도 좋을 같다. 나는 책을 읽고 이런 질문이 떠올랐다. 게리 클라인의 사람들이 나를 이렇게 말해주면 좋겠어라는 질문과 비슷할지도 모르겠다. 내게 떠오른 질문은 이것이다. 나는 아내에게 어떤 사람인가? 나는 우리 아기에게 어떤 사람인가? 나는 함께 일하는 동료에게는? 부모님이나 가족들, 친구들에게는?

 

질문으로 나는 나를 다시 바라보게 되고, 주변 사람들의 생각과 바람을 알게 되고, 결국 판던의 결국 모두가 행복해지는 좋잖아라는 질문처럼 우리 모두가 행복해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책을 읽는 모든 이들이 90명의 석학들이 제시한 질문을 통해, 혹은 자신만의 질문을 통해 진정으로 나아가야 삶의 방향을 다시 찾을 있기를 기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