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상록 - 명상록은 책이 아니라 영혼의 처방전이다, 최신 완역판 다상 고전의 향기 1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지음, 키와 블란츠 옮김 / 다상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명상록> 살면서 번은 읽어야 하는 필독서다. 그래서인지 몰라도 대학교 들어갈 입학 선물로 받았던 책이었다. 당시에 책을 읽으면서 그냥 지루한 , 이것저것 많은 얘기들을 하지만 몇몇 구절을 제외하고는 그다지 마음에 닿지 않는 책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다가 이번에 다시 다상출판사에서 출간한 <명상록> 읽게 되었다.

 

가장 먼저 눈에 것은 원전의 명성을 온전히 되살린 차별화된 번역이라는 문구였다. 세월이 흐르면서 번역이 얼마나 중요하지 알게 되었기에 말이 주는 의미가 남다르게 다가왔다. 책의 옮긴이는 키와 블란츠로, 자신만이 이해할 있는 용어를 사용해 매끄럽게 이어지는 않는 명상록의 여러 부분들을 옮긴이가 오랜 명상 끝에 아우렐리우스가 전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온전한 줄기로 책에 담았단다. 예전에 명상록을 생각하면서 책을 읽기 시작했다.

 

일단 예전에 읽었던 책에 비해 상당히 읽기가 편했다. 읽기가 편하다보니 내용도 머릿속에 쏙쏙 들어온다. 물론 내용을 모두 이해했다는 의미는 아니다. 명상록은 그대로 문장, 문장이 깊이 심사숙고해야 하는 글들이기에 단시간에 무언가를 것으로 만들 있을 만큼 가벼운 책이 아니다. 그대로 문장을 읽는데 어려움이 없다는 이야기다. 속뜻까지는 모르더라도 겉으로 보이는 의미는 쉽게 느낄 있었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그것만으로도 명상록에 조금 가까이 다가갈 있는 발판이 되었다.

 

<명상록>에는 , 철학, 삶의 모습, 우주의 본성, 도덕적 정신 수많은 이야기들이 담겨있다. 중에서도 책에 일관되게 흐르는 내용은 이성이 아닐까 싶다. 아우렐리우스는 이성을 통해 자연의 법칙을 이해하고 이에 수긍하는 인간이 가장 바람직한 인간이라고 말한다. 인간이 이성적 존재이기에 자신의 본성을 파악할 있고, 이웃과 더불어 있고, 신을 있다고 말한다. 이것이 아우렐리우스가 말하고자 했던 가장 중요한 부분이 아닐까 싶다.

 

자신의 지배적 이성, 자연의 지배적 이성, 이웃의 지배적 이성을 살펴보라. 자신의 지배적 이성을 살펴 정의를 실현하고, 자연의 지배적 이성을 살펴 내가 일부임을 자각하고, 이웃의 지배적 이성을 살펴 그들의 행동이 무지에서 비롯된 것인지 지혜에서 비롯된 것인지를 파악하라.(p.186/22)

 

아우렐리우스의 말처럼 이성을 가진 인간이기에 나를 알고, 상대방을 알고, 우주의 흐름을 있으니 삶은 얼마나 행복할까?

 

옮긴이에 의하면, <명상록> 단계를 거쳐 읽어야 제대로 이해할 있단다. 이번에는 아직 단계 읽기에 머물러 있지만 앞으로 옮긴이가 말하는 2-3단계 독서를 거쳐 아우렐리우스가 말하는 바를 온전히 이해할 있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