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억 명, 어느 날
스티븐 에모트 지음, 박영록 옮김 / 시공사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니 돌링의 100 명을 읽은 얼마 돼서 책을 읽게 되었다. 모두 인류가 미래의 어느 순간 100 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측하면서, 과연 100억이라는 인구가 인류에게 어떤 의미인지를 분석한다. 하지만 논조와 관점은 정반대이다.

 

대니 돌링의 100 명은 일단 출산율의 저하로 100 명이라는 인구에 도달하지 않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또한 위기 상황에 처한 인간은 스스로 훨씬 지혜로운 해결책을 제시하며, 현재 세계적으로 경제적 불평등이나 효율적인 에너지 분배 등을 자발적으로 서로 공존하는 미래의 지구를 만들어가고 있다고 주장한다.

 

반면 <100 , 어느날> 저자 스티븐 에모트는 인류의 미래를 상당히 암울할 것으로 추정한다. 현재 인류는 생태계 파괴 상황, 환경오염으로 인한 온난화 현상, 나라마다 겪고 있는 부족 현상, 인구 증가로 인한 식량난 인류 스스로 감당할 없을 정도의 대환란에 직면해 있다고 주장한다. 물론 저자 나름의 해결책을 제시한다. 하지만 저자는 인류 모두가 지금보다 훨씬 많이, 극단적이다 생각될 정도로 소비를 줄이는 방법 밖에는 이를 해결할 방법이 없다고 말하면서도 과연 이것이 가능할까 의문스러워한다.

 

저자가 이렇게 비관적인 견해를 내비치는 이유를 것도 같다. 저자의 말처럼 소위 말하는 대기업들이 자신의 이익을 줄이면서까지 인류의 보편적인 이익을 위해 희생할 것인지, 또한 이해타산으로 얽힌 정치인들도 기업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기득권을 내려놓을 것인지 생각해봤을 그러지 않을 가능성이 훨씬 높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책을 읽으면서 인류의 미래는 그렇게 비관적이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 먼저 저자처럼 인류가 직면한 대재앙을 끝없이 경고하면서 어떻게 해서든지 해결책을 찾아보려는 이들이 세계 곳곳에서 활동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우리 주변을 돌아보면 스스로 환경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고, 자가용 대신 대중교통이나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어가고 있다. 아직 이러한 움직임이 미미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낙관적이라고 수는 없어도 지구가 직면한 위험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우리의 후손들을 위해 지구를 살리기 위한 노력들이 다양하게 펼쳐지고 있다는 사실은 분명해 보인다. 이런 인식의 전환이 우리의 삶을, 미래를 바꿀 것이라고 믿는다.

 

책은 그렇게 많지 않은 분량으로, 강조나 주의를 집중시키기 위해 페이지 분량을 조절하여 마치 프레젠테이션 자료를 보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이런 구성이 저자의 절박한 외침을 절절하게 만드는 요소이기도 하다. 우리의 미래를 생각하게 하는 짧지만 강력한 내용을 담은 책을 통해 바로 내가 먼저 고민해고 행동해야 문제가 무엇인지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