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퀼트, 퀼트
양선미 지음 / 현대문학 / 2014년 6월
평점 :
가족이라고 하면 따뜻함이 떠오른다. 끝없는 포근함이 느껴진다. 모든 것을 내어맡겨도 좋다는 믿음과 신뢰가 생각난다. ‘엄마’라고 하면 어떤가?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가장 소중한 존재, 내 아픔을 마지막 순간까지 보듬어줄 존재, 늘 미안하면서도 늘 고마운 존재. 보통의 사람들이 생각하는 가족과 엄마의 이미지는 이렇지 않을까?
하지만 작가 양선미가 말하는 가족, 엄마의 이미지는 이와는 전혀 다르다. 오히려 가족은 폭력의 근원이다. 두려움과 공포의 온상이다. 엄마의 이미지도 마찬가지다. 사랑이라는 감정이 떠오르는 대신 미움이, 분노와 증오가 퍼져 흐른다.
얼마 전에 권비영 작가의 <은주>를 읽었다. 이 책과 마찬가지로 가정 폭력에 관한 소설이었다. 가정 폭력에 관한 글이 많아진다는 것은 그만큼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의 가정이 여기저기 많이 깨져있다는, 또한 수많은 가정이 해체되었다는 반증일 것이다. 이런 시대적 아픔을 어떻게 치유할 수 있을까?
권비영 작가는 <은주>에서 가족으로 인한 아픔과 고통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치유될 수 있다고 말한다. 10편의 단편 속에서 가족에 대한 말한 양선미 작가는 별다른 해결책을 내놓지 않는 듯하다. 오히려 냉정하게 현실의 상황을 묘사하기만 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마지막 순간에 언뜻 언뜻 작가의 마음을 내비치며 희망의 햇살을 살며시 보여준다. 홍시를 양 손에 들고 웃는 손자의 사진을 보며 억척스레 홍시를 모은 할아버지 마음을 알게 된 <홍시>의 영우가 마지막 순간에 느끼는 안도감이나 <연어가 돌아오는 계절>에서 여인이 찜질방에서 알게 된 아이가 있는 바다를 향해 서둘러 걸어가는 모습, <물고기들>의 주인공 인숙이 단정하게 묶었던 머리카락을 풀어헤치며 어머니의 흔적을 지우는 장면 등에서 자신을 얽어매고 고통스럽게 했던 가족과의 관계를 풀어나가는 이들의 모습이 그려진다. <은주>에서처럼 이들도 역시 타인과의 관계에서 자신을 돌아보며 고통의 굴레를 벗어난다.
그렇지만 가족에게서 받은 상처는 그렇게 쉽게 치유되는 상처는 아닌 것 같다. 오히려 현실을 제대로 바라보지 못하게 만드는 트라우마로 작용한다. <조서>에서 나오는 이은수가 아버지를 보자마자 현실을 올바로 판단하지 못하고 환각 속에 빠지는 모습은 가정 폭력의 후유증이 얼마나 큰지를 보여준다. 또한 <어디를 달리고 있을까, 해피는>의 문자 역시 엄마에게 또한 기르는 개에게 폭력을 휘두르는 아버지의 그늘을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만큼 가정 폭력의 그늘은 넓고 깊게 드리워져 있어서 쉽게 빠져나갈 수가 없다.
한 아이의 아빠로, 한 여자의 남편으로 나는 과연 어떤 모습으로 그들에게 다가가고 있는지를 생각해보게 되었다. 알게 모르게 상처를 주고 있지는 않았는지, 표현하지 않음으로써 예기치 않은 오해를 불러일으키지는 않았는지? 행복한 가정이 무엇인지? 그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수없이 많은 생각 속에서 사랑하는 나의 가족이 그 무엇보다 소중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깨닫게 된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