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직필 - 들어 세운 붓
주진 지음 / 고즈넉 / 2014년 5월
평점 :
<사관의 붓은 진실만을 기록한다.>
하지만 죽음의 그림자에 묻힌 자는 살아남기 위해 그 진실을 이용하고,
권력의 탐욕에 빠진 자는 진실을 이용해 또 다른 권력을 집어삼키려 한다.
왕은 무소불위의 권력을 가진 절대자이다. 그런 왕이 한 때는 정말 부러움의 대상이었다. 자기 마음대로 모든 일을 할 수 있고, 가지고 싶은 모든 것을 가질 수 있고, 그 누구도 감히 도전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이는 왕. 어찌 부럽지 않을까? 하지만 왕이라고 해서 절대 흔들리지 않는 철옹성 같은 권력을 가진 것은 아니다. 오히려 어떤 왕은 일개 평민보다도 못한 존재일지도 모른다.
모든 것을 잃은 채 식물인간처럼 지내던 사관 민수영.
어느 날 서서히 죽었던 감각이 돌아오며 정신을 차리지만 지난날의 과거는 모두 잃어버린 채였다. 기억을 잃은 민수영이 자신의 기억을 찾아 헤매기 시작하면서 그를 둘러싸고 훈구대신 세력과 왕의 형제인 이정(월산대군) 간에 소리 없는 암투가 벌어지기 시작한다. 이는 기억을 잃기 전에 민수영이 숨겨놓은 사초에 이들의 앞날을 뒤엎어버릴 내용이 담겨있기 때문이었다. 기억을 찾아다니는 민수영 앞에 그의 부인이라는 이연화가 나타나 사초에 얽힌 이야기를 들려준다. 하지만 누군가에게 잡힌 민수영에게 이 모든 것이 거짓임이 드러나고, 사초를 둘러싼 왕과 월산대군과 훈구파 수장인 한명회 간에 서로를 잡기 위한 수 싸움이 벌어지는데..
이 소설은 역사를 배경으로 한 추리 스릴러물이라고 보는 편이 더 맞을 것 같다. 끝인 듯 싶을 때 또 다른 반전을 선사하며 독자를 새로운 장면으로 이끌고 가고, 상상 외의 결말에 다시 한 번 글을 읽는 재미를 선사한다. 철학적이나 윤리적으로 깊이 있는 내용을 담았다기보다는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인간 군상의 모습을 역사적 인물이나 소설 속 인물들에 빗대어 묘사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예상을 많이 벗어났던 인물은 바로 주인공인 민수영이었다. 사관의 붓은 진실만을 기록한다는 표현처럼 왠지 강직하고 청렴결백한 이미지의 느낌을 줄 것 같은 인물이었는데 막상 소설 속에 그려진 민수영의 옛 모습은 그렇지 않았다는 점이 오히려 소설을 더 재미있게 만들어주었다. 오랜만에 읽는 재미가 솔솔 넘치는 역사소설(?)을 읽었다. 작가의 다음 작품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