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림자 같은 목소리
이자벨라 트루머 지음, 이지혜 옮김 / 여운(주) / 2014년 5월
평점 :
이자벨라 트루머는 주로 추리소설을 쓴 작가이다. 그런 그녀가 아버지의 이야기를 글로 풀어냈다. 미담의 주인공 같은 아버지의 모습이 아니라 알츠하이머라는 질병으로 고생한 아버지의 모습을 담아 낸 작품이 바로 <그림자 같은 목소리>이다.
이 책은 시종일관 담담한 흐름을 유지한다. 작품의 관점도 오로지 주인공인 알츠하이머 환자 지그프리트 그람바흐의 시선에서 바라본 모습들을 그려내고 있다. 또한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병이 진행되어 가는 모습을 너무나 자연스럽게 그려내고 있다. 그렇기에 처음에는 아주 가볍게 읽어갈 수 있었다. 그러던 어느 순간 문득 주인공의 모습이 나와 관계없는 타인이 아니라 바로 나의 아버지의 모습처럼 느껴졌다. 실제로 고모가 현재 알츠하이머로 요양 중이기에 그랬는지도 모르겠다. 병이 진행되면서 보여주는 주인공의 모습에 가슴 한 쪽이 저려오고, 아픔과 슬픔이 번갈아가며 나의 마음을 휘감고, 때로는 분노가 치솟아 오르고, 어느 순간 그저 고요히 받아들일 수밖에 없음을 인정하는 순간이 있었다. 작가는 알츠하이머를 앓던 아버지의 머릿속을 파고들어가 기억에 뚫린 구멍을 들여다보고 싶은 마음에 이 글을 썼다고 했지만 이 작품을 읽는 독자로 하여금 주인공을 자신의 아버지로 여기게 만들었다. 그것이 이 책이 주는 첫 번째 매력이다.
두 번째 매력은 작가의 의도대로 알츠하이머로 점차 자신의 본질을 잃어가는 아버지의 모습을 너무나 생생하게 묘사하였다는 점이다. 특히 알츠하이머 치매가 진행되는 모습을 사실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병이 진행되면서 주인공이 어떻게 변해 가는지를 시간의 흐름에 맞춰 그려내고 있다. 처음에는 치매 전 단계로 그저 나이가 들면 누구나 그럴 수 있는 것처럼 다른 사람의 말에 집중하지 못하는 모습이나 자신이 조금 전에 한 일을 기억하지 못하는 모습이 가볍게 그려지다 점차 상대방의 말을 알아듣지 못하고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고 결국 자신이 하는 말도 잃어버리는 모습이 세세하게 그려지면서 마치 나 자신이 기억과 말을 잃어가고 있는 것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다른 무엇보다도 주인공이 때때로 읊조리던 이 책의 제목이 주인공이 처한 상황을 가장 적확하게 묘사한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알츠하이머라는 병이 만들어낸 ‘그림자 같은 목소리’는 결국 실체를 잃은 채 형체만 남은 환자의 모습을 너무나 기가 막히게 비유한 표현이었다.
마지막으로 환자나 가족이나 모두 힘든 상황이지만 주인공이 전혀 알아보지 못하는 순간에도 함께 하는 이가 가족이라는 점, 또한 주인공이 무의식적인 상황 속에서도 흘려내는 사고가 ‘모두 가족 들어와 손주들이’ 인 것을 보면, 결국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바는 ‘가족은 가족이다’라는 것이 아닌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