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의 영역
사쿠라기 시노 지음, 전새롬 옮김 / arte(아르테) / 2014년 6월
평점 :
절판


사쿠라기 시노는 이번에 <순수의 영역>으로 처음 접하는 작가이다. 작가가 나오키상을 수상한 이후 처음으로 발표한 장편소설이 바로 작품이다. 작가 스스로 현재까지 모든 것이 작품에 담겨 있다고 정도이니 작품에 대한 기대치가 저절로 높아졌다. 관계에서 드러나는 인간의 질투라는 감정을 집중적으로 조명했다는 소개 내용에 따라 질투라는 감정을 염두에 두고 책을 읽어나갔다.

 

사랑과 전쟁을 너무 많이 보았나 보다. 작가가 그려낸 질투는 치정에 얽힌 선정적인 남녀의 모습을 보여주지 않는다. 오히려 전반에서 질투라는 감정을 쉽게 찾아볼 없었다. 마지막 부분에 있는 표현으로써 작가가 보여주고자 질투의 모습을 조금이나마 이해할 있었다.

 

질투란 멈출 반복해서 밀려오는 파도와 같다. 명이면 가지 형태로, 자신만이 있는 세기로, 혼자만의 시간을 괴롭힌다. (p.372)

 

너무나 가슴에 닿는 말이었다. 질투는 다른 사람을 괴롭히는 형태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혼자 속앓이를 하며 괴로워하게 만들기도 한다. 또한 질투는 남녀 관계에서만 드러나는 감정이 아니다. 오히려 상사와 부하직원, 형제자매 사이, 스승과 제자 사이에서 드러나는 경우가 많을지도 모른다. 로뎅과 카미유 클로델의 관계를 보라. 연인이자 스승과 제자 사이였던 그들이었지만 탁월한 능력을 지닌 카미유 클로델을 향한 로뎅의 질투가 어떤 비극을 일으켰는지를 돌이켜보라. 작품에서도 천재적인 능력을 지닌 준카와 그녀를 향한 류세이의 질투는 시종일관 보일 희미하게 그려지다 마지막 순간에서야 예기치 못한 새로운 모습으로 드러낸다. 하지만 작가는 이런 질투심이라도 인간에게 필요한 소중한 감정이라고 이야기한다.

 

질투심이 없다는 이토록 슬픈 일인 몰랐다. 인간으로서 뭔가 소중한 누락되어 있다. (p. 307)

 

작품에서 내가 주목했던 다른 주제는 순수라는 것이 과연 무엇인가였다. 책에서 순수로 대변되는 이는 고민할 필요도 없이 준카이다. 하지만 발달장애를 지닌 준카가 류세이의 전시회에 처음 모습을 드러낸 작가가 그려낸 준카의 모습을 보면서 순수라는 느낌보다는 순진하다는 느낌을 훨씬 많이 받았다. 순진과 순수, 비슷해 보이지만 완전히 다른 의미이다. 예전에 순진과 순수의 차이를 보여주는 사례로 맑은 물이 가득 (순수) 비어있는 투명한 (순진) 비교하는 글을 읽은 적이 있다. 안을 들여다 있을 정도로 투명하고 맑지만 물이 담긴 컵에는 이상 다른 무언가가 들어갈 틈이 없지만 잔에는 깨끗하고 투명한 물이 담길 수도 혹은 더러운 무언가로 채울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만큼 순수와 순진은 다르다. 그런데 내가 준카는 순진한 존재였지 순수한 존재로는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하늘에 구멍인 달을 보며 미움을 얘기하던 준카(순진한 준카) 요시후미와 이야기하면서 마음에 드는 일을 하늘에 구멍에 넣고 아무도 미워하지 않겠다고 이야기하는 모습에서 준카의 순수함을 찾을 있었다.

 

소설은 등장인물의 심리와 미묘한 감정의 변화를 세밀히 묘사하면서 전반부에는 잔잔한 흐름을 보이다가 후반부에 들어 예기치 못한 반전을 보이며 다른 방향으로 작품을 이끌어나간다. 담담하지만 가슴 한켠이 저미는 듯한 공감의 아픔을 느끼게 책은 나를 작가의 다른 작품을 향해 떠나가는 여행자이면서도 작품으로 다시 돌아올 수밖에 없는 관광객으로 변모시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