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vs 권력 - 중국 역사를 통해 본 돈과 권력의 관계
스털링 시그레이브 지음, 원경주 옮김 / 바룸출판사 / 2014년 2월
평점 :
품절


당신에게 돈이나 권력 하나를 선택하라고 한다면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

 

나라면....... 중에 아무 거라도 좋으니까 무조건 하나라도 달라고 하겠다. 그렇지 않나? 세상 사람들 대부분은 돈도 없고 권력도 없는 그런 삶을 산다. 하지만 돈이 있는 사람과 권력이 있는 사람은 서로를 어떻게 대할까? 서로 존중해주는 관계인가? 아니면 서로 적대심을 드러내는 관계인가? 우리나라의 경우, 대기업 총수가 대통령이라는 권좌를 바라며 대권에 도전하는 모습을 보거나 권력을 가진 자가 부당한 돈을 받아 결국 권력을 내놓은 작태를 보면 전형적인 정경유착의 모습이 드러난다.

 

책은 돈과 권력의 관계를 중국의 역사 속에서 밝히고 있다. 처음 책을 읽을 때는 권력을 가진 자와 돈을 가진 자의 다툼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는 책이라고 생각했지만 막상 펼쳐본 책의 내용은 돈과 권력의 역사를 따로 또한 같이 기술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권력을 가진 자들이 어떻게 패가망신하는지, 또한 현명한 이들이 권력의 구조에서 빠져나와 사업가로서의 길을 개척해나가는지 하나하나 설명해나간다.

 

중국의 화교가 성립하게 배경은 권력자들의 상인에 대한 배척 때문이었다. 사농공상이라는 신분계층의 최하위층을 차지하는 상인에 대한 권력자들의 경멸은 상인들에게서 보이는 탐욕, 무자비함, 그들만의 세상에 대한 비웃음이자 경고이었다. 하지만 이들이 강남 지역으로 강제 이주된 후에 보이는 모습은 참으로 경이롭다. 권력의 속성을 파악한 상인들은 자신을 숨기는 법을 배운다. 아니다. 정권과 함께 남해안 일대에 걸쳐 이룩하는 해상왕국이나 동남아 각지에서 자리를 잡아가는 상인들은 절망 속에서 희망을 찾아내는 이들의 본보기가 만하다.

 

5 년의 중국 역사는 권력과 돈이 서로 어우러져 이루어간 역사이다. 하지만 저자의 시각은 권력보다는 돈에 조금 호의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은 아닌가 싶다. 돈은 가지 결함을 해결한다는 표현이나 권력의 무상함 속에 살아남는 돈의 속성을 강조한다는 , 무엇보다도 중국의 화교가 이룬 경제력으로 오늘날의 중국이 경제대국으로 성장해가는 모습을 보여주며 돈이 지닌 힘을 강조한다. 그렇다고는 하더라도 권력과 돈은 수레의 바퀴처럼 오늘도 서로를 마주보며 세계 곳곳을 굴러다닐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