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성룡, 나라를 다시 만들 때가 되었나이다
송복 지음 / 시루 / 2014년 5월
평점 :
품절


욕지거리를 한바탕 후에 옷깃을 여미게 !!!

 

학창 시절에 배웠던 국사는 그저 암기 과목일 뿐이었다. 역사적 사건을 총체적으로 있는 안목을 키우는 시간이라기보다는 그저 년도에 사건이 일어났는지, 기억해야 사람은 누구인지, 사람은 어떤 업적이 있는지, 그저 외울 것만 넘쳐흘렀다. 내가 배우는 내용이 옳은지 그른지에 대한 판단은 전혀 필요치 않았다. 그렇기에 율곡의 10 양병설을 당연한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였다. 생각할 필요도 없었다. 그런데 초반부에서 저자는 율곡의 10 양병설의 진위를 따지며 후손에 의한 역사 왜곡으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xx. 도대체 배웠던 거야? 라는 욕지거리라 불쑥 솟아올랐다. 그런데......

 

가관도 이런 가관이 없다. 읽을수록 울화가 치미는데 도대체가 흥분을 가라앉힐 수가 없다. 이게 말이 되는 건가? 아무리 조선이라는 나라가 사대주의에 빠져있는 나라라고 하더라도 하나의 독립된 주권 국가인데 이게 말이 되는가 싶었다. 한참을 멍한 상태로 있었다.

 

이제부터 책을 읽고 한바탕 욕지거리를 밖에 없었던 이유를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선조와 조정의 중신이라는 인물들부터 살펴보자. 왜놈들이 쳐들어와 파죽지세로 평양까지 밀고 들어오자 의주로 피신했던 선조와 조정의 중신이라는 인물들의 머릿속에는 명나라로 도망가 곳에 정착해야 한다는 생각만이 가득 있었다. 나라의 왕이, 그것도 전쟁 중인 상태에서 국가도 백성도 필요 없고 오로지 자신의 왕권 유지를 위해 다른 나라로 들어가 독립국의 지위를 버리겠다고 했으니 어찌 열불이 솟지 않을 있을까? 선조는 자신의 군사도 백성도 믿지 않았다. 오로지 명나라, 명나라 군사에게만 목을 매고 있었다. 조종이라는 칭호를 사용한 것과 관련해 명에 행한 변명에 이르러서는 어떠한 기대도 이들에게 남아있지 않는 모습, 아니 조선 백성의 모습을 수밖에 없었다.

 

가지 살펴보자. 조선이라는 나라에서는 병사들에게 무기를 지급할 없었단다. 뿐만이 아니다. 장수들에게 녹봉을 지급하지 못했단다. 아니, 먹을 것도 없고 싸울 무기도 없다면 도대체 전쟁은 어떻게 있단 말인가? 이처럼 어이없는 모습에 어찌 울화통이 터지지 않을 있을까?

 

이렇게 열불이 나는 상황 속에서도 옷깃을 여며야 했던 이유는 조선에 류성룡과 이순신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순신 장군이야 두말할 필요도 없이 우리가 너무나 아는 인물이고 책에서 말하는 주인공도 아니니 그냥 넘어가도록 하자. 류성룡에 대해 내가 알았던 지식은 이순신을 발탁한 인물이었다는 정도였다. 그런데......

 

류성룡이 땅에 없었다면 과연 지금 나는 자주 독립 국가인 대한민국의 국민으로 있었을까? 그렇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그만큼 임진왜란에서 류성룡이 이룩한 업적은 가볍게 언급하고 넘어갈 사안이 아니다. 조선을 배제한 이루어진 명과 왜의 강화 협상을 저지한 이도, 나라고 백성이고 모두 버리고 명나라로 도망치려 선조를 막은 이도, 전투에서 가장 중요한 군량을 마련한 이도, 군제를 개편해 정병을 만들어 나라를 살리려고 했던 이도, 이순신을 발탁해 수군을 담당하게 이도 모두 류성룡이었다. 무엇보다도 조선이 명에 의존하지 않고 자강, 스스로 강해져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후손들의 자의식을 깨우고자 했던 <징비록> 집필한 이가 바로 류성룡이었다.

 

책은 자강을 외쳤던 류성룡의 질타를 시대를 사는 우리에게 다시 들려준다. 스스로 일어나라고, 그리하여 나라를 다시 강하게 일으켜 세우라고. 그것은 단순히 전투력을 길러야 한다는 말은 아닐 것이다. 스스로 세워야 것이 결코 물리적인 힘만은 아닐 것이니.

 

마지막으로 책을 여든의 노학자 송복 교수님에게 깊은 감사의 말을 전하고 싶다. 땅에 이렇게 멋지고 위대한 선조가 있었음을 깨우쳐준 노고에 대해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