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론 이펙트 - 정의로운 인간과 국가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10 그레이트 이펙트 8
사이먼 블랙번 지음, 윤희기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14년 5월
평점 :
품절


책을 읽으며 머리를 쥐어뜯은 경험은 참으로 오랜만인 같다. 그만큼 나에게는 책이 상당히 어려웠다. 학교 다닐 돌려보던 족보나 자습서, 요약서 등을 생각하며 책을 집어 들었던 나에게 책은 플라톤의 <국가론> 자체보다 어려운 해설서였다.

 

책을 국가론에 대한 해설서라고 말할 있을까? 그럴 있을지도 모르겠다. 책의 구성 자체는 해설서처럼 보인다. 국가론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 부분을 발췌하여 제시한 그와 관련된 주제를 풀어나가는 형식이기에 얼핏 보기에는 내용에 대한 저자의 해석을 토대로 각각의 주제를 설명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저자 자신이 말하듯 플라톤을 전공하지도 않았고 관심도 없는, 오히려 플라톤과는 달리 아리스토텔레스처럼 현실, 경험론자인 저자는 플라톤의 국가론에 대한 자신의 견해나 해석을 덧붙이는 것으로 자신의 소임을 다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저자는 플라톤 이후의 수많은 사상가, 시인, 작가들의 작품이나 사상 속에서 플라톤의 사상이 어떻게 함께 어우러지는지 혹은 어떤 비판을 받는지를 보여주면서 플라톤의 사상에 담겨있는 수많은 함축적 의미들을 독자의 눈앞에 펼쳐놓는다. 그렇기에 책이 더욱 어렵게 느껴진다. 플라톤 하나만으로도 머리에 쥐가 정도인데 거기에 칸트나 데이비드 , 기독교적 세계관, 수학적 관념 등이 더해지니 철학을 전공하지 않은 내가 머리를 쥐어뜯지 않고 책을 읽어 내려갈 있었을까?

 

일단 책을 읽기 시작하면 이해가 되지 않더라도 끝까지 보는 성격인지라 마지막 문장까지 읽어 내려갔다. 머릿속에서 무언가 보일 하면서도 실체를 잡기 어려웠던 저자(블랙번) 생각은 다음 문장을 읽고 나서야 저자가 플라톤의 <국가론> 어떻게 생각하는지 조금이나마 이해할 있었다.

 

<국가론> 권은 마음의 상태와 영혼의 조화에 대해 선한 사람이 보이는 관심과 사람의 위엄에 관해 많은 생각을 하면서 끝을 맺는다. [중략] 그것은 이상적인 삶과 사회를 제시한 것이 실제적인 제안을 하기 위함이 아니라 우리 자신의 결점이 무엇인지 가늠해줄 있는 척도로 삼기 위함이라는 사실이다.(p.212)

 

책은 어느 정도의 철학적 기본 소양이 있는 사람에게는 유용할지 몰라도 앞에서 말했듯이 국가론에 관한 기본 입문서로 생각해서 읽는 사람에게는 오히려 국가론 자체보다 어려운 책자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플라톤이라는 인물과 국가론에 대한 궁금증을 유발해 여러모로 생각하게 만든다. 특히 수학적(과학적) 관점 혹은 종교적 관점에서 바라본 플라톤의 사상은 상당히 재미있는 부분이었다. 수많은 사람들이 눈을 돌려 플라톤을 바라보았듯이 우리의 시선을 플라톤과 <국가론> 돌리게 하였다는 , 또한 다시 책에 도전하고 싶은 마음이 들게 , 바로 점이 책이 가진 최대의 장점이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