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구대
구광렬 지음 / 작가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의 상상력은 참으로 놀랍다. 어찌 암각화 하나를 토대로 이런 글을 써내려갈 수 있을까? 책을 다 읽은 후 작가의 상상력이 어떻게 나온 것인지 너무나 궁금해서 인터넷으로 울산 반구대 암각화를 검색해봤다. 몇 개의 이미지들을 보았지만 나로서는 여전히 불가해하다.

 

처음 책장을 넘겼을 때에는 상당히 읽기가 어려웠다. 내용이 어렵다기보다는 선사시대를 나타내려는 작가의 의도인 듯한 숫자 표기 방식(사람, , 땅 등), 부족에서의 역할(으뜸, 버금, 당골레, 알리미), 아래아자()와 같은 고어 표기를 사용한 이름 등이 상당히 낯설어서였다.

 

낯선 표기들이 눈에 익자 책장이 쉽게 넘어갔다. 이 책은 암각화를 새긴 이가 과연 누구였을까라는 질문에서 시작하였다는 작가의 말처럼 큰 어울림 가람이라는 부족에서 족장의 아들로 태어난 그리매와 서로를 사랑하며 그리워하여 아이까지 낳지만 큰 어미로서 자신의 역할을 감당해야 하는 꽃다지, 그와는 배다른 형제(?)이면서 으뜸 자리와 꽃다지를 두고 애증의 관계가 되는 큰주먹의 이야기가 서로 얽히고설켜있고, 이들의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동안 암각화는 서서히 완성된다.

 

이 책은 읽는 동안 나는 큰 어울림 가람 부족 사람들과 함께 있는 것 같았다. 부족이 함께 멧돼지를 사냥하는 모습이라든가 먹을거리가 없어 결국 영물로 떠받들던 떠다니는 여를 사냥하는 장면에서는 나도 모르게 그 속에 푹 빠져들어 그들과 같이 사냥에 나선 듯한 느낌이 들 정도였다. 또 한편으론 선사시대라고 해서 현재의 모습과 그리 다르지 않구나라는 생각도 들었다. 권력을 움켜진 자리에서 자기 자손에게 그 권력을 넘겨주려고 하는 부족장 (하), 버금의 자리에서 으뜸의 자리를 노리며 사람들을 끌어 모으는 (갈), 기회주의자처럼 이리 붙었다 저리 붙었다하는 (작) 등은 우리가 사는 시대에서도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인물들이었다.

 

그렇지만 작가가 진정 말하고자 하는 바는 다른 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큰 어울림 가람이라는 부족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작가는 권력이나 돈이나 힘에 의해 분리되는 사회가 아니라 서로가 하나 되는 화합을 이야기한다.

 

그렇게 둥글어지면 사람 또한 뉘 우두머리인지, 뉘 끄트머리인지 알 수가 없을 터, 크게 잘 어울림이란 그런 걸 두고 하는 말이다.”(p. 111)

 

또한 화합을 위해 한 가지 시선으로만 타인을 보지 말라고 한다. 다름을 인정하라고 한다.

 

돌만... 만졌구나. 돌만... 만졌더니.... 온 누리가.... 돌로 뵌다. 너무....뽀족해 있지.... 마라. 뾰족하면... 부스러지거나... 깨진다.” (p.224)

 

그렇게 재 하나를 사이에 두고 사슴은 정반대로 다뤄졌다. 저곳에서의 사슴은 가느다란 다리, 겁먹은 눈동자로써 연약과 비겁을 상징했지만, 이곳에서의 사슴은 허공을 찌르는 단단한 뿔로써 충직과 강직을 의미했다. (p.276)

 

아마도 이런 화합의 의미가 그리매와 큰주먹과의 관계, 이웃 마을들과의 연합 등으로 이어지는 이 책의 결론부와도 연결된다.

 

이 책은 말 그대로 읽는 재미가 솔솔하다. 그리매와 꽃다지의 이어질 듯 말 듯한 애절한 사랑 이야기나 족장이 되기 위해 속고 속이는 수많은 군상들의 모습 등은 독자를 매료시키기에 차고 넘치는 장면들이다. 옛 조상의 모습이 자못 궁금한 이들이라면 지금 바로 책장을 펼쳐보는 것은 어떨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