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 괴테를 읽다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지음, 류시건 옮김 / 오늘의책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44xx

<폰 괴테를 읽다>의 첫 장을 열었다. 어린 시절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을 읽고 비극적 사랑의 희열을 느끼게 만들어 주었던 바로 그 괴테의 작품이다. 첫 장을 넘겨보니 100살이 된 노학자 파우스트는 맹인이 되지만 심안은 더욱 밝아진다라는 글귀가 눈에 들어왔다. 어라, 파우스트였구나. 괴테하면 떠오르는 작품 중 가장 대작으로 구상에서 완성까지 60년이 걸렸다는 파우스트였다.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본 작품이지만 막상 책을 펼칠 엄두도 내지 못하는 바로 그 책이다. 에휴, 한숨이 나온다. 예전에 아무 생각 없이 읽었던 파우스트는 너무 어려웠다. 다 읽기는 했지만 머릿속은 오히려 하얀 백지처럼 변해버렸던 그 기억이 다시 솔솔 떠오른다. 이번에는 어떤 느낌으로 다가올까? 1부를 펼치자 바로 졸음이 쏟아진다. 내일부터 열심히 읽어야겠다.

 

 

20144xx

어렵다는 선입견이 있어서 그런가? 책을 읽는 속도가 나지 않는다. 거기다가 가끔씩 보이는 오탈자 때문에 책에 몰입하기가 어렵다. 에라, 맘 편하게 읽자. 괴테라는 천재가 60년에 걸쳐 쓴 책을 한 번에 다 이해하고야 말겠다는 내가 더 웃긴 거다. 맘을 편히 먹자 책이 조금씩 읽혀진다. 희곡 형태라 빽빽하지 않아서 페이지 넘어가는 속도도 점점 빨라진다. 1부를 읽는 동안 문득 성경 욥기의 내용이 떠오른다. 주님과 메피스토펠레스와의 내기로 이야기가 시작된다. 세상 지식의 한계와 인간으로써는 알 수 없는 것이 많다는 사실에 좌절한 파우스트 박사는 ‘멈추어라, 너는 정말 아름답구나 하고 말한다면 그때는 나는 기꺼이 망하겠다.(p.90)고 말하며 메피스토펠레스와 영혼을 담보로 한 계약을 맺는다. 마법의 힘으로 젊음을 되찾은 파우스트는 순진한 처녀 마르가르테(그레첸)를 유혹해서 타락시킨다. 결혼도 하지 않은 처녀로 자신이 낳은 아이를 죽인 마르가르테가 사형 언도를 받자 파우스트는 고통 가운데서 그녀를 탈출시키려 하지만 마르가르테는 이를 거절한 채 하나님을 심판을 받은 후 영혼의 구원을 얻는다. 이 장면을 끝으로 1부가 마무리된다. 파우스트는 괴테의 모습이 투영된 인물이라고 하는데 1부에 나온 파우스트는 과연 어떤 존재인가?

 

“아, 내 가슴에는 두 개의 영혼이 깃들어 있어.

그것들이 서로 떨어져 나오려고 한다네.

하나는 음탕한 정욕을 불태우며

현세에 집착하여 떨어지지 않는다네.

또 하나는 어떻게든 먼지 낀 속세를 피하여,

선현이 사는 높은 영의 세계로 오르려 하네.(p. 64)

 

 

결국 파우스트는 타락한 영혼에 져버린 패배자일 뿐인가? 내일 2부를 읽어봐야겠다.

 

2014 4 xx

늘 파우스트를 다 읽어야겠다는 마음으로 2부를 펼쳤다. 파우스트를 읽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 중 하나는 중간중간 삽입되는 수많은 시들과 신화와 비유를 사용한 내용 전개 때문인 것 같다. 잠깐 읽다 책을 내려놓는다. 머리 좀 식혀야겠다.

 

 

 

2014 4 xx

2부에 나오는 파우스트는 대마법사로 변신해 황제를 도와 재정적인 어려움을 해결하고 전설의 미녀인 트로이의 헬레나를 저승에서 불러내 그녀와의 사이에 아들을 낳는다. 하지만 불의의 사고로 아들이 죽자 헬레나는 아들을 쫓아 지옥으로 떠나버린다. 홀로 남은 파우스트는 왕에게서 하사 받은 땅을 수많은 사람들이 자유로이 사는 땅으로 만들 상상을 하면서, ‘멈추어라! 너는 진정 아름답구나!(p.583)라고 외친다. 계약에 따라 메피스토펠레스가 파우스트의 영혼을 잡으려는 순간 천사들이 나타나 파우스트를 구원하며 대단원의 막을 내린다. 책을 덮지만 상당히 당황스럽다. 파우스트가 왜 갑작스레 구원을 받는 거야?? 이게 무슨 시추에이션이지???

 

 

2014 4 xx

파우스트는 어렵다. 시대적 배경과 신화적 배경 등 알아야 할 것도 너무 많다. 다시 한 번 곰곰이 생각해본다. 과연 괴테는 무엇을 말하고 싶었을까? 아니 나는 무엇을 보고 싶었던 걸까? 파우스트의 구원은 도대체 어디에서 온 것일까? 책을 다시 훑어보자 문득 이런 구절들이 눈에 띈다.

 

 

“산더미 같은 책들로 굴속은 비좁기 한이 없다..

이것이 너의 세계다! 이것을 세계라고 할 수 있는가?...

신은 살아 있는 자연 속에서 살라고,

인간을 만들어서 넣어 주셨건만(p.32)

 

 

시끄러운 시간의 여울 속으로

사건의 와중으로 뛰어들자!

거기에서는 고통과 쾌락,

성공과 불만이 번갈아 덤벼들어도 좋다.

쉬지 않고 활동해야 비로소 남자다.(p.92)

 

 

자유와 생명은 날마다 싸워서 쟁취하는 자만이

누릴 자격이 있는 것이다.

자유로운 땅에서 자유로운 백성과 함께 살고 싶다.

그러면 나는 그 순간을 향해 이렇게 부르짖어도 좋을 것이다.

멈추어라! 너는 진정 아름답구나!(p.583)

 

 

종교적인 구원은 논외로 하고 사람이 사는 모습만을 보자. 파우스트는 자신만의 세계에 갇혀 있었다. 생각이라는 혹은 사상이라는 틀 속에 갇혀 살아 있는 삶 속으로 들어서지 못하고 있었다. 하지만 자유와 생명은 시끄러운 시간과 사건 속에서 날마다 싸워서 쟁취하는 것이었다. 그 싸움은 자신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자유로운 백성들을 위한 싸움이다. 결국 사랑의 힘이다. 현실 속에서 부딪치는 사랑의 힘이다. 인간의 모든 지식과 능력은 모두를 위한 사랑의 표현이어야 한다.

 

 “오직 사랑의 힘만이

사랑하는 이를 인도해드립니다!(p.592)

 

 

“언제나 노력하며 애쓰는 자를

우리는 구할 수 있습니다.(p.601)

 

 

2014 4 xx

폴레옹이 인정했던 천재 괴테. 괴테의 삶이 녹아있는 파우스트. 읽기 쉬운 책은 아니다. 하지만 파우스트는 지금도 나에게 속삭인다. 삶의 모습을 한 번에 다 알 수는 없다고. 끝없이 노력하며 애써야 한다고. 다시 한 번 자신을 만나러 오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