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뮈와 함께 프란츠 파농 읽기
박홍규 지음 / 틈새의시간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편견이란 누군가 혹은 무엇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으로만 생각했는데 틈새의 시간에서 나온 박홍규님의 <카뮈와 함께 프란츠 파농 읽기>를 읽으면서 긍정적 편견도 존재한다는 걸 새삼 다시 깨닫게 되었다.

 

알베르 카뮈라고 하면 세상에는 어떠한 불변의 정의나 법칙이 없다고 하는 부조리 사상을 보여준 작가로 많은 이들이 좋아하는 인물이다. 나 역시 그렇다. <이방인>, <페스트>, <최초의 인간> 등의 작품을 읽으면서 인간과 세상의 또 다른 한 면을 찾아보곤 했다.

 

그런데 이 책에서는 그런 까뮈를 부정적인 시각에서 바라본다. 노벨 문학상 수상작가로 위대한 작품들을 남긴 그를 어떤 점에서 그렇게 신랄하게 비판하는 건지, 처음에는 이해하기 쉽지 않았다. 아니, 마음속으로 받아들이기 힘들었다는 편히 더 옳지 않을까 싶다. 그러다 일제강점기를 거친 우리 민족과 비교한 여러 이야기들 읽어나가면서 왜 저자가 까뮈를 비판할 수밖에 없었는지 조금은 이해하게 되었다.

 

물론 저자의 의도는 까뮈라는 인물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까뮈와 파농을 함께 보여주면서 비서양을 바라보는 서양의 시각이 어떠한지, 서양의 제국주의가 가진 의미가 무엇인지를 독자들에게 설명하려는 것이다.

 

알제리의 역사도 이번에 처음으로 다시 돌아보게 되었다. 까뮈의 작품으로 알제리에 대해서는 들어보았지만 사실 그렇게 큰 관심을 두고 그들의 역사를 돌아보지는 않았다. 그들의 아픔이 우리와 어떻게 닮아있는지, 어떻게 다른지 알게 되니 작품 속에서 본 그들과는 다른 모습들이 눈에 들어온다. 서양인, 프랑스인의 시각이 아닌 또 다른 이의 시각에서 바라본 그들의 모습 말이다.

 

까뮈와 파농, 위대한 인물들을 통해 바라본 또 다른 이야기들이라 생각보다 깊이 빠져들었다. 세상을 보는 나의 시선을 다시 한 번 돌아보는 계기이기도 하였고, 누군가에게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그것을 생각해본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