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맨 브라운
너새니얼 호손 지음 / 내로라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굿맨 브라운>. 굿맨이라는 단어에서부터 무언가 반어적인 느낌이 물씬 풍긴다좋은 사람이라는 의미의 굿맨이 왠지 모르게 좋은 사람을 말하지는 않을 것 같다는 추측은 나만의 생각은 아닌 것 같다책을 읽기 전 아내한테 물어보았는데 나와 비슷하게 생각하는 걸 보면.

 

나다니엘 호손의 영미소설 <굿맨 브라운>은 보는 시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종교적인 색채가 강한 소설이다이 책에서는 Faith를 신념으로 번역했지만 평범하게 해석한다면 믿음으로 받아들이는 게 더 적절하고 나다니엘 호손의 작품들에 담긴 청교도에 관한 이야기들을 고려한다면 종교적인 의미로 받아들이는 게 더 낫지 않나 싶다.

 

굿맨 브라운이라는 청년이 자신의 아내 신념을 떠난 후 겪은 일들을 그린 이 소설은 인간의 본성에 내재된 악의 존재를 드러내고자 한 작가의 의도를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신념을 벗어난 굿맨 브라운의 모습에서도 찾을 수 있고그가 신앙적으로 의지했던 목사장로권사들의 본모습에서 드러나기도 한다.

 

기독교인으로서 신념(믿음)을 벗어나 다시 그 품에 제대로 안기지 못하는 굿맨 브라운의 모습은 여러 가지 생각에 빠지게 한다가벼운 마음으로 신념을 떠난 굿맨 브라운그의 모습은 연약한 인간의 모습을 그대로 드러낸다자기 스스로 믿음을 지켜낼 수 있다는 그런 어리석음을그렇게 가볍게 떠났던 신념을 다시 만났지만 결코 그 속에 온전히 녹아내리지 못한 채 죽음을 맞이한 그의 모습은 무섭기까지 하다온전한 구원이 이루어지지 않았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말이다.

 

마지막으로 월간내로라에 대해 말하고 끝마치고자 한다한 달에 한 편영문 고전을 원어와 함께 담아낸 단편 시리즈인 월간내로라는 원어와 함께 본다는 장점에 더해 독자에게 생각할 거리를 던진다는 점에서도 꽤 매력적인 시리즈이다앞으로 어떤 작품을 만나게 될지 기대된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