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란사 - 조선의 독립운동가, 그녀를 기억하다
권비영 지음 / 특별한서재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 우리가 대한민국의 국민으로서 자유롭게 살아가는 것은 이 땅의 독립을 위해 피와 땀과 눈물을 흘린 수많은 우리의 선조들이 있기 때문이다역사 속에 이름을 남긴 위대한 이들도 있고이름 석 자도 남기지 않은 채 이 땅을 위해 산화한 이들도 있지만 그들의 이 땅을 향한 사랑의 무게는 결코 다르지 않다그렇기에 이 땅의 독립을 위해 자신을 희생한 이들을 찾는 일에 우리 모두가 더욱 힘을 쏟아야한다권비영 작가의 이번 작품처럼 말이다.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녀 <덕혜옹주>를 재조명한 권비영 작가가 이번에는 <하란사>라는 작품으로 이 땅의 독립을 위해 투쟁한 독립 운동가이자 대한제국의 여성들을 위해 자신의 모든 것을 바친 페미니스트인 김란사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하란사라는 이름을 처음 들었기에 책을 읽기 전에 인터넷으로 검색했더니 김란사라는 인물을 찾을 수 있었다성이 달라 다른 인물인가 했는데 그녀가 바로 이 소설의 주인공인 하란사와 동일인이었다하란사는 감리서 책임자인 남편 하상기의 성과 선교사가 지어준 낸시라는 영어 이름을 한자로 바꾼 란사를 합친 이름이다.

 

소설은 말 그대로 소설이기에 역사적인 사실만을 말하지는 않는다의친왕 이강과의 인연이나 유관순의 스승이라는 설정처럼 소설로서의 매력을 발산하기 위해 작가의 상상력이 가미되어 역사적 기록과는 조금은 다른 흐름으로 이야기가 이어지기도 한다하지만 그 속에는 역사적 인물로 이 땅과 이 땅의 여성들을 위해 자신을 헌신한 하란사의 본질적인 면 또한 분명하게 그려진다.

 

소설을 읽는 내내 하란사라는 인물이 뿜어내는 강렬한 기운에 휘둘렸다그 시대의 여성으로서 쉽지 않은 길을 걸어간 그녀의 의지와 결단력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단 한 사람이었지만 그 한 사람이 얼마나 큰 영향을 주변에 끼치는지를 보면 지금 내가 살아가는 모습을 다시 돌아보기도 했다.

 

그녀의 삶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까꺼진 등에 불을 밝히라고 했던 그녀의 말처럼 꺼져가는 조국에 한 줄기 빛을 밝힌 그런 삶이 아니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