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림, 조선의 586 - 그들은 나라를 어떻게 바꿨나?
유성운 지음 / 이다미디어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의 반만년 역사를 돌아보면 대부분의 국가들이 후손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아니 자랑스러운 모습들을 보여주었다만주벌판을 내달리며 주변 강대국들을 벌벌 떨게 만든 호방하고 진취적인 성향의 고구려중국과 일본에까지 진출하며 우수한 자국 문화를 전한 백제삼국을 통일한 신라그 뒤를 이은 고려 등 각각의 나라마다 긍정적인 평가들이 넘쳐난다하지만 단 하나조선만은 예외이다조선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평가보다 부정적인 평가가 더 우세하다왜 그럴까아마 국민보다는 소수의 특권 계층만을 위한 나라, 조선시대에 발생한 치욕의 역사, 그리고 여전히 우리를 가슴 아프게 하는 일제강점기의 역사가 그들 때문이라는 시선이 강하기 때문이다물론 조선에 대한 평가가 전부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다세종성종정종 등의 시대는 분명 자랑스러운 역사의 순간들이다그렇지만 그런 긍정적인 순간을 완전히 묻어버릴 정도의 어두운 시대가 조선에는 더욱 강하게 이어졌다그런 어둠의 시대는 어디에서 시작되었을까바로 사림이다그렇다면 사림은 악한 세력일까처음부터 그런 건 아니었다그저 역사의 한 귀퉁이에 그 이름을 올리기 시작하면서 그 누구와도 타협하지 않고 오직 자신들을 위해오직 자신들의 신념만을 귀히 여기기 시작하면서 조금씩 변해갔을 뿐이다.

 

이런 생각이 옳은지 혹은 그렇지 않은지는 역사학자가 아니기에 뭐라고 말하기는 어렵다다만 조선에 깔렸던 어둠에 그들이 한 축을 이루었다는 것만큼은 분명하다그런 그들의 모습을 작금의 대한민국에서 다시 발견했다고 말한 이가 있다한국사를 전공하고 기자로 활동한 유성운으로그는 <사림조선의 586>이라는 책에서 사림과 586세대를 비교하며 그들이 어떤 공통점을 지닌 집단인지를 밝히고 있다.

 

저자가 책에서 주장한 사림과 586세대의 공통점을 보면 다른 것들처럼 독자의 반응도 극명하게 나누어지리라 생각한다마치 모세가 일으킨 홍해의 기적처럼 말이다각자가 생각하는 것도 다르고주장하는 것도 다르니까 그건 그것대로 인정해야할 부분이 아닌가 싶다다만 저자의 생각에 동의하는 사람은 동의하는 사람대로반대하는 사람은 반대하는 사람대로 논리적으로 대처하기를 바란다절대 감정적이 아니라...

 

이 책을 읽은 이후의 감정은 요새 표현으로 하자면 할많하않이다역사가 또한 이 땅을 지켜온 백성들이 때가 되면 평가할 테니까그래도 딱 한 가지만 말한다면 지금의 모습이 이어진다면 어느 순간 586세대를 사랑하는 이들보다는 절대 그들에게 마음을 주지 않겠다는 이들만 늘어날 것이라는 점이다예전에 그 어떤 집단을 향한 국민의 마음처럼 말이다그런 일이 절대 생기지 않기를 바라고지금의 모습에 아파하기를 바란다진정으로 아파하기를 바란다아픈 만큼 성장한다는 건 한 개인에게 한정된 말이 아니니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