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자가와 초승달, 천년의 공존 - 그리스도교와 이슬람의 극적인 초기 교류사
리처드 플레처 지음, 박흥식 외 옮김 / 21세기북스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독교와 이슬람교비슷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지만 기독교인의 입장에서 말한다면 두 종교는 완전히 다른 종교이다또한 종교적 신앙이 다르기에 기독교와 이슬람교는 서로 배타적이라는 생각이 일반 사람들의 지배적인 생각이기도 하다(중세에 있었던 십자군 전쟁이 사람들의 생각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하지만 기독교와 이슬람교는 사람들의 생각처럼 서로 배타적인 관계만 형성한 것이다오히려 우리의 생각과는 달리 이슬람교가 생긴 초창기에는 두 종교 간에 우호적인 교류가 이어졌다물론 그 교류가 지속되지는 못했지만.

 

요크대학교에서 중세사를 연구한 리처드 플레처 교수의 마지막 저술인 <십자가와 초승달, 천년의 공존 - 그리스드교와 이슬람의 극적인 초기 교류사>를 보면 두 종교 간의 초기 교류가 이루어진 역사적 사실들이 5장에 걸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저자는 7세기에서 15세기에 걸쳐 기독교 세계와 이슬람 세계가 외교사상예술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어떻게 서로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보여준다.

 

종교적인 관점에서는 저자의 주장에 의문이 드는 부분도 있지만 이 책에서 말하는 내용이 아니기에 그 부분을 별도로 생각하면 이슬람과 기독교는 상호 보완의 관계였던 것이 분명하다특히 이슬람의 과학과 기술이 서양에 미친 영향은 상당하다또한 서양의 그리스 철학이 이슬람에 끼친 영향도 결코 가볍지 않다.

 

이렇게 상호 보완적인 교류가 이루어졌던 두 세계가 서로를 적대시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십자군 전쟁을 빼놓을 수 없다그 어떤 이유에서도 전쟁은 서로를 적대시하게 만들 수밖에 없으니까.

 

이슬람 세계와 기독교 세계는 여전히 서로에게 적대적인 모습을 보인다그런 적대감이 종교적인 이유를 넘어 경제정치적인 분야에까지 그 원인을 두고 있기에 어쩌면 두 세계의 공존은 결코 쉬워 보이지 않는다그렇지만 역사적으로 이루어졌던 초기의 우호적인 교류를 생각해보면 결코 불가능한 일 또한 아니다어렵지만 절대 미룰 수 없는 일이기도 하다지구라는 인류의 공존지가 모두가 행복을 경험하는 곳이 되기 위해서라도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