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화국
요스트 더프리스 지음, 금경숙 옮김 / 현대문학 / 2020년 4월
평점 :
절판
친구들과 종종 얘기하는 역사적 인물 중 단연 가장 많이 언급된 인물은 히틀러이다. 여러 이유가 있지만 한 사람이 전 세계를 파멸의 순간으로 이끌었다는 점에서, 또한 최악과 차악의 관점에서 얘기할 때도 늘 그 예로 드는 인물이 히틀러였기 때문이다. 이처럼 히틀러는 우리의 삶에서 지나간 인물이 아니라 어쩌면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와 함께 하는 인물일지도 모르겠다. 그런 인물이기에 네덜란드의 젊은 세대를 대표하는 요스트 더프리스가 자신의 소설 <공화국>에서 히틀러를 소재로 삼았던 것은 아닐까.
히틀러 연구학의 대가인 요시프 브리크의 제자이자 잡지 <몽유병자>의 편집장인 프리소 더포스는 브리크의 권유로 칠레에 있는 동명의 히틀러를 만나러 간 사이 그의 스승이자 친구인 요시프의 죽음을 듣지만 뜻하지 않게 병원에 입원해 있던 관계로 스승의 장례식에 참석하지 못한다.
스승과의 관계에 자부심을 가지고 있던 그에게 전혀 들어보지도 못한 필립 더프리스(눈치 채셨겠지만 이 인물의 성이 작가의 성과 동일하다, 어떤 의미인지는 곰곰이 생각해봐야겠지만)라는 인물의 등장은 낯설음을 넘어서 어이가 없을 지경이다. 스승의 뒤를 잇는 인물로 세간의 조명을 받는 필립 더프리스에게 시기, 질투, 분노를 느낀 프리소는 자신의 자리를 되찾기 위해 어처구니없는 일을 벌인다. 전 세계 히틀러 학자들이 모이는 ‘역사의 종말’이라는 학회에 참석해 자신이 마치 필립 더프리스인양 행동한 것이다. 이제 프리소의 입에서 수없이 많은 히틀러의 이야기가 쏟아져 나온다. 그의 이야기에서 막연히 독재자, 세계대전의 주범으로 생각했던 히틀러와는 또 다른 히틀러는 만나게 된다.
<공화국>은 실제와 허구를 오가는 소설의 묘미를 만끽할 수 있는 작품이다. 책 띠지에 실린 글처럼 지적 싸움으로 가득한 책이기도 하다. 그렇기에 어떤 면에서는 책 한 페이지를 넘기기가 쉽지 않기도 하고 프리소의 엉뚱한 행동에 담긴 의미와 그를 대하는 주변의 모습에 한참을 고민하기도 한다. 또한 <공화국>이라는 책 제목에 담긴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생각하게 되고.
누구나 자신만의 공화국을 세우며 살아간다. 그 속에 무엇을 품고 있는지는 서로 다르겠지만. 프리소는 어떤 공화국을 세웠을까? 그의 모습을 지켜본 독자들은 자신의 공화국을 찾았을까? 흥미로운 화두를 던진 이 소설, 상당히 매력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