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군자론 - 리더는 일하는 사람이다
이한우 지음 / 쌤앤파커스 / 2020년 2월
평점 :


공자는 분명 위대한 사상가이지만 어느 순간부터 공자는 식상함(?)의 대명사로 변해버린 듯한 느낌이다. 공자에 관한 책들이 너무 많이 나와 더 이상 새로운 무언가를 찾기 어렵다는 생각 때문이기도 하고 조선을 지배했던 성리학적 이념이 공자에 대한 편견을 세웠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여하튼 요즘 추세를 보면 공자보다는 장자쪽에 더 많은 사람들이 열광하는 분위기가 아닌가 싶다.
이런 시대적 상황에서 공자에 대해 책이 또 하나 출판되었다. <군자론-리더는 일하는 사람이다>라는 제목의 이 책은 지금까지 출판된 공자 관련 책과는 또 다른 시각에서 공자의 말을 해석한다. 책에 담긴 이론적이며 문자적인 의미의 군자가 아닌 생활 속에서 살아 숨 쉬는 리더의 모습에 공자의 사상을 담아놓았다.
저자는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문장에서부터 기존의 시각과는 다른 정확한 해석을 토대로 공자가 말한 구절의 의미를 우리에게 전달한다.
學而時習之 不亦說乎(학이시습지 불역열호)
습관처럼 ‘배우고 때로 익히면 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로 해석한 이 문장의 본 뜻은 ‘배워 시간 날 때마다 부지런히 그것을 익히면 진실로 기쁘지 않겠는가’이다. 저자의 설명에 따르면 이 문장에서 공자가 말한 바는, ‘애씀’ 혹은 ‘애쓰는 법’을 배우라는 것이다.
이처럼 이 책에는 우리가 잘못 알고 있었던 공자의 사상을 제대로 해석해서 전달하고자 하는 저자의 노력이 곳곳에 담겨있다. 공자가 말한 군자는 도덕적이고 이념적인 인물이 아니다. 오히려 실생활에 아주 밀접한 생활밀착형 리더이다. 모든 일들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혜롭게, 신중하게, 현명하게 일을 이끌어가는 사람이다.
공자가 말한 군자의 의미를 새롭게(어쩌면 이제야 바르게) 해석한 글을 읽으면서 공자에게 새로운 흥미를 느낀 사람이 나만은 아닐 듯 싶다. 그만큼 이 책은 새로운 군자의 모습을 우리에게 알려준다.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필요한 참 리더의 모습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