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을 뚫고 시가 내게로 왔다 - 소외된 영혼을 위한 해방의 노래, 라틴아메리카 문학 서가명강 시리즈 7
김현균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10월
평점 :
일시품절


라틴 아메리카 문학이라고 하면 <백년 동안의 고독>을 쓴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가 떠오른다그를 제외하고는 머릿속에 떠오르는 또 다른 라틴 아메리카 작가나 시인은 솔직히 아무도 없다그만큼 라틴 아메리카는 아주 생소한 지역이다.

 

서울대학교 강의를 책으로 들려주는 서가명강 시리즈 일곱 번째 작품은 이런 라틴 아메리카의 시인들과 그들의 시를 다룬 김현균 교수의 <어둠을 뚫고 시가 내게로 왔다>이다라틴 아메리카도시도 평소 관심을 두고 보는 분야는 아니었지만 서가명강 시리즈에서 다룬다는 점이 호기심을 불러일으켰다.

 

소외된 영혼을 위한 해방의 노래라틴 아메리카 문학이라는 부제를 보면서 들었던 생각은 라틴 아메리카에서 시작된 진보적 기독교 신학 운동인 해방 신학과의 연계성이다소외영혼해방이런 단어들이 둘을 연결 짓게 만들었고이 단어들이 라틴 아메리카를 대변하는 핵심어라는 생각도 들었다.

 

저자는 이 책에서 루벤 다리오파블로 네루다세사르 바예호니카노르 파라라는 네 명의 시인을 다루고 있다우리에게는 익숙하지 않은 이름들이지만 라틴 아메리카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시인들로 라틴 아메리카 전반에 흐르는 문학적 분위기를 들려주기에 가장 적절한 이들이 아닐까 싶다.

 

이들 중 특히 관심이 갔던 인물은 파블로 네루다였다솔직히 몰랐던 이야기였는데 그를 다룬 영화가 두 편이나 있었다. <일 포스티노>와 <네루다>였다이 영화들도 보지는 못했지만 이름 정도는 들어봤던 터라 영화에서 다룬 네루다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된 건 어찌 보면 너무나 당연한 일이었다.

 

이 책에는 네루다가 칠레를 포함한 라틴 아메리카인들에게 얼마나 큰 영향을 끼쳤는지를 보여주는 일화가 실려 있다바로 칠레 산호세 광산이 무너져 광부들이 갇혔을 때 그들이 삶에 대한 의지를 불태우며 읽었던 시가 바로 네루다의 작품 <커다란 기쁨>이라는 사실이다이처럼 네루다의 시는 현실을 벗어난 신기루와 같은 시가 아니라 함께 호흡하며 살아가는 일상의 인물들이 느끼는 삶의 희망고통슬픔 등을 독자의 가슴에 깊이 새겨놓는다.

 

가볍게 시작한 책이지만 읽을수록 점점 무거워지는 무게에 한 페이지를 넘기는 일조차 쉽지 않았지만 그랬기에 더 많은 여운이 남는 책이다라틴 아메리카의 시인과 그들의 작품이 궁금한 독자뿐 아니라 삶의 아픔과 기쁨을 간직한 인간의 내면 깊은 곳의 모습을 들여다보고 싶은 독자라면 이 책을 꼭 한 번 읽기 바란다그 속에 우리를 자유롭게 놓아주는 해방의 노래들이 실려 있으니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