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신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구글 신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 - DNA에서 양자 컴퓨터까지 미래 정보학의 최전선 카이스트 명강 1
정하웅.김동섭.이해웅 지음 / 사이언스북스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KAIST 명강' 시리즈는 카이스트 교수들이 우리 시대의 화두를 선정하여 대중을 상대로 펼친 강연을 한데 엮은 책이다. 그들의 훌륭한 연구 성과가 세상에 널리 알려지기 위해서는 소수의 전문가 집단과 소통하는 것을 넘어 일반들에게도 그것이 의미 있는 무언가로 가닿아야 한다는 취지가 강연과 출간의 원동력이 됐다. 첫 번째 주제는 DNA에서 양자 컴퓨터까지 다방면으로 가지를 뻗은 '미래 정보학'이다. 이 책을 집어들면서 학교 바깥에서도 수업을 들을 수 있다는 설렘과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을 맞닥뜨리게 된 두려움이 교차했는데, 다행히도 취지에 걸맞은 수준이라 내용을 따라가기가 그리 버겁지는 않았다.

 

정하웅 물리학과 교수는 '복잡계 네트워크와 데이터 과학'을, 김동섭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는 '생물 정보학'을, 이해웅 물리학과 교수는 '양자 암호와 양자 정보학'을 차례로 강의했다. 얼핏 별 연관이 없어 보여도 첫 강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언급된 '정보의 네트워크'가 전체 강의를 한 줄로 꿰는 역할을 한다. 세상을 이루는 작은 세상들은 저마다 너무나 복잡하다. 그래서 우리는 우리의 머리로 생각할 수 있는 어떤 한계를 능가하는 일은 쉽게 일어나지 않을 거라고 곧잘 확신한다. 그러나 세상은 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얼굴을 보여준다. 구글에서 자료를 검색하는 일도, 유전자의 염기 서열을 알아내는 일도, 영원히 풀지 못할 암호를 만드는 일도 다 복잡하게 얽혀 있는 네트워크의 문제로 귀결된다. 이제는 모든 과학자가 분야를 막론하고 네트워크 속에 숨겨진 정보를 읽어내야만 하는 셈이다. 그러니 이 책이 양자학에 관한 이야기로 끝나는 것도 자연스러운 수순이다.

 

'정보'는 특정 상황에서 평가되어 의미를 갖는 데이터를 뜻하고, '지식'은 일반적인 상황에서 의미를 갖는 정보를 뜻한다. 다수의 상호협동적 참여와 소통이 '정보'를 '지식'으로 만드는 것이라면, 이 시리즈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지금 과학적 지식이 어디로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지를 일러주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이제 우리도 구글 신에게 이것저것 물어볼 일이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