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의 배꼽, 그리스]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문명의 배꼽, 그리스 - 인간의 탁월함, 그 근원을 찾아서 박경철 그리스 기행 1
박경철 지음 / 리더스북 / 2013년 1월
평점 :
품절


여행이 이로운 이유야 손가락을 다 접어도 모자랄 판이지만 그중에서도 으뜸은 세상을 이해하는 새로운 경험이 아닐까 한다. 누구나 백 번 듣는 것이 한 번 보는 것만 못하다는 속담을 피부로 느끼게 된 여행 하나쯤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수고롭게 짐을 싸서 긴 여행길에 오르지 않아도 지구 저편을 코앞에서 보는 것처럼 가닿을 수 있는 세상이지만, 머리로 아는 것과 몸으로 아는 것은 차이가 있는 법. 직접 가보지 않고는 알 도리가 없는 무언가가 존재한다는 사실은 늘 또 다른 여행을 꿈꾸게 만든다. 그런 의미에서 여행기는 얼마나 보았는가가 아니라 어떻게 보았는가가 중요하고, 그것이 읽는 이로 하여금 떠나고픈 마음을 자극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여기 그리스로의 여행을 매혹하는 책이 있다.

 

젊은 시절 단골 책방의 서가에서 <예수 다시 십자가에 못박히다>에 우연히 시선을 빼앗긴 박경철은 그리스의 대문호 니코스 카잔차키스를 짝사랑하게 되었고, 그가 남긴 방대한 저작을 닥치는 대로 읽고 또 읽었다. 저자가 밝히고 있는 것과 같이 니코스 카잔차키스는 르네상스적 인간이었다. 문학가일 뿐만 아니라 철학자이자 교육자이자 정치가이자 행정가였던 그가 남긴 이야기 속에는 문명의 배꼽이라 불리는 그리스가 있었다. 이것이 바로 저자가 니코스 카잔차키스를 품고 그리스에 가게 된 이유, 어쩌면 운명이다. 훌륭한 길잡이가 있으니 그의 여행은 두려울 게 없어 보인다. 많은 것을 알고 있다는 사실보다 더 많은 것을 알고 싶어 한다는 사실이 머릿말에 묻어나기 시작할 때, 나도 그와 함께 흥분되는 여행길에 올랐다.

 

문명을 유람하는 여정답게 그는 그리스 전역을 구석구석 돌아다니며 손에 잡히지 않는 시간들을 더듬어 나간다. 이 책은 2011년 겨울부터 첫 발을 뗀 여행의 출발점이자 총 열 권으로 풀어낼 이야기의 시작점에 해당되는 펠로폰네소스 편이다. 니코스 카잔차키스라는 안경을 쓴 저자의 눈을 통해 학교에서 배웠던 역사와 책으로 읽었던 신화가 펼쳐지는데, 그 순서가 여행자의 발걸음을 따르는 데다 글의 이해를 도울 만한 사진과 그림까지 실려 있어 현장감이 넘친다.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방식 덕분에 그리스를 어떤 모습으로 기억하는 독자든 흥미로운 이야기를 듣게 될 것이다. 그리스나 니코스 카잔차키스에 관심이 많은 이는 물론이요, 인간과 삶에 질문을 던지는 그 소중한 경험을 사랑하는 이에게 동행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