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 닦고 스피노자]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눈물 닦고 스피노자 - 마음을 위로하는 에티카 새로 읽기
신승철 지음 / 동녘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대의 혁명을 다루는 영화나 소설을 보면 꼭 주인공이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가 얽혀 있다. 조금 더 본질적인 내용만 담을 수는 없는 건가? 하기는 무겁기만 한 이야기를 누가 좋아하겠어? 소재를 고려하면 어쩔 수 없는 노릇이야. 어리석게도 나는 한때 이렇게 생각했다. 실제 역사 속에서도 사랑 덕분에 혁명을 부르짖고 사랑 때문에 혁명을 그르치는 일이 많았다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우리가 거기에 각별히 주목하는 데서 생겨난 어떤 전형이라고 여겼다. 그런데 나도 어느 순간 사랑이라는 것이 그리 간단한 양념은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기 시작했다. 이는 나이를 먹었다는 숱한 증거 가운데 하나다. 수많은 고전이 사랑 속에서 혁명을 불태우고 혁명 속에서 사랑을 꽃피우는 이유가, 그리고 그것으로부터 사람들이 알게 모르게 위로를 얻는 까닭이 어렴풋이 손안에 들어왔다. 어쩌면 사랑과 혁명이 불가분의 관계라는 것을 일러주는 신호가 조금씩 내게 감지된 셈이다.

 

 

△ 영화 '레미제라블(Les Miserables)' 中 코제트와 마리우스의 사랑

 

 

혁명이란 무엇인가? 자기 자신을 둘러싼 껍질을 깨부수는 행위, 외부의 관계망 속으로 과감히 뛰어드는 태도, 다른 세계로의 접촉과 횡단을 거쳐 울타리를 바깥으로 확장하는 일. 17세기의 스피노자는 본질적으로 인간은 이런 욕망을 갖고 있다고 믿었다. 그래서 수많은 ‘되기’를 통해 이른바 변용 능력을 길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여기서 '되기'란 신체가 공동체에 접속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모름지기 사랑으로써 경험된다. (여기서 사랑은 좁은 의미의 사랑이 아니다.) 여행을 하고 나면 세상이 달라 보이듯 사랑을 하고 나면 우주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변해 있다. 언젠가 파스칼 키냐르는 이런 말을 했다. “사랑에 빠질 때마다 우리의 과거는 바뀐다.” 이렇듯 사랑은 끊임없이 우리를 낮은 곳으로 흐르게 만든다. 그런데 현대인들은 이 사랑의 위대함을 알지 못한다. 그보다 다른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먹고 살기 바빠서 사랑을 찾을 시간도, 혁명을 외칠 여유도 없다고?

 

여기서 머리가 아니라 신체를 언급하는 대목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스피노자는 데카르트와 달리 사유를 하나의 실체로 보지 않는다. 그는 사유가 이 세계를 지배하거나 장악한다고 보는 데 거부감을 드러내며, 공동체와의 무한한 결합이 만드는 신체 변용과 이와 평행하게 획득되는 사유의 공통 관념에 입각해서 그 복잡한 속성 중 일부에 겨우 접근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아주 거칠게 표현하면,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가 아니라 '나는 유한하다. 고로 접근한다.'이다. 머리로 생각해서 나와 세계를 분리하는 대신 신체를 변용해서 나를 세계에 이르게 하는 식이다. 우리가 실제로 사랑을 대하는 순간을 떠올려보라. 백날 머리 굴려 봐야 사랑은 다가오지 않는다. 사랑은 머리로 하는 게 아니다. 위에서 언급했듯 접촉과 횡단이 답이다. 현대인들이 앓고 있는 질병들, 즉 불안증·우울증·신경증·강박증·조울증·분열증·공포증 등은 다 이게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탓이다.

 

사랑과 혁명? 왠지 거창하게 느껴지지만 실은 우리가 매일매일 부딪히는 일이다. 이 책은 그저 남들 따라 공무원이 되고자 고시원에서 취직을 준비하고 있는 한 학생에게 어느 날 갑자기 스피노자가 나타난다는 설정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소설은 아니지만 소설처럼 가상의 형식을 띠고 있다. 그는 밤마다 본인과 주변 사람들의 고민을 하나씩 털어놓으며 남몰래 상담을 받는다. 이들이 나누는 대화의 핵심은 철학사에 한 획을 그었다고 평가받는 '에티카'다. 그러니까 그걸 직접 읽기가 부담스러운 사람의 경우 스피노자의 세계에 부담 없이 다가갈 수 있는 유쾌한 구성이다. 저자는 별별 '증(症)'에 이리저리 시달리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스피노자의 생각을 토대로 담백한 위로를 전한다. 실체를 짐작할 수 없고 깊이를 잴 수 없는 커다란 슬픔 앞에서 우리는 종종 좌절한다. 그러나 미지의 세상에 줄곧 접속하는 사랑은 슬픔을 기쁨으로 바꿀 것이다. '사랑'은 곧 '혁명'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