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깊은 글쓰기]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뿌리 깊은 글쓰기 - 우리 말로 끌어안는 영어
최종규 지음 / 호미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뿌리 깊은 글쓰기>를 쓴 지은이는 한겨레가 영어 아닌 한국말로 놀이를 즐기듯 착하고 어여삐 말삶을 일구는 꿈을 헤아리고 스스로 영어를 예쁘게 받아들이는 길을 살피고 싶다고 말한다. 우선 이렇게 한국말과 한국글을 톺아보자고 목청을 높이는 책을 만나 반갑다. 하루에도 몇 번이고 사전을 들추며 맞춤법을 익히는 나로선 훌륭한 말하기와 참다운 글쓰기를 늘 꿈꾸는 터라 이 책으로 나를 돌아보는 일이 무척 소중하다. 한자와 영어가 판을 치는 요즈음 날마다 되풀이되는 예사로운 말과 글을 저자처럼 낱낱이 살피는 일이란 알다시피 쉽지 않다. 거기에 견줄 수야 없겠지만 적어도 영어를 입에 엄벙덤벙 올리는 일만큼은 나 역시 조심스럽게 여기고 있어 이러한 글은 나를 적잖이 괴롭힌다. 그러잖아도 이야기를 나누거나 글을 쓸 때 너무 많은 생각을 하는 바람에 외려 처음에 하고 싶었던 말을 제대로 담아내지 못해 애를 먹는 경우가 더러 있기 때문이다. 물론 그것은 어디까지나 내가 부족한 탓이고 능력을 나무랄 노릇이지만, 낱말 하나하나 꼼꼼히 되짚을 겨를이 없는 때 옳고 바른 말을 해야 한다는 생각을 머릿속에 넣고 있으면 갑갑해지기 일쑤다. 그럴수록 지은이처럼 보통 때 말을 쌀찌우는 일이 필요하다는 것은 두 말할 나위가 없는데, 다른 나라말을 너무 자주 접하며 사는 탓인지 그 깜냥이 좀처럼 늘지 않아 걱정이다.

 

책을 보고 내 나름대로 받아들일 수 있는 내용을 갈무리하자면 이러하다. 힘이 닿는 데까지 한국말을 살려 쓰되 한자를 죄다 손볼 수는 없을 것 같다. 나는 아름다운 우리말을 찾아 언어 표현을 넓히는 쪽으로 힘을 기울이고 싶은데, 그때 한자는 그 뜻만 잘 알고 활용한다면 나쁠 것이 없다고 생각한다. 한글과 함께 몸집을 키운 한자는 긴 글월을 짧게 줄일 수도 있고 읽거나 쓸 때 그 표현을 더 매끄럽게 만드는 데 보탬이 되기도 하므로 아예 내치는 것이 바람직한 일은 아닌 듯하다. 대신 지은이가 주로 가리키고 있는 것처럼 '-을/를 위()하여', '-에 관()하여' 등 오랫동안 써서 버릇처럼 입에 익은 말을 달리 부릴 수 있도록 한동안 애쓸 생각이다. 나는 한자로 이루어진 낱말보다 그것을 잇거나 엮는 표현이 더 껄끄럽다고 느낀다. 꼭 쓸모가 있는 것도 아닌데 잘 몰라서 내버려둔 것을 가지 치듯 하나씩 가위질하면 조금 더 우리말을 곧게 세울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이유인지 모르겠으나 지은이 역시 잘못된 문장을 놓고 한자와 영어가 쓰인 곳을 샅샅이 다듬으면서도 책을 이루는 큰 얼거리는 영어를 바로잡는 대목들로만 엮고 있다. 한자보다 영어가 우리말을 더 좀먹는다고 여기는 듯하다.

 

우리말이 영어로 물드는 일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고 갈수록 겉잡을 수 없이 번지고 있다. 사람들이 하나둘 영어를 섞어 말을 내뱉는 데 조금도 개의치 않는다. 이를테면 타이밍, 다크, 대시, 더블, 디저트, 디테일, 라인업, 럭셔리, 레스토랑, 로망, 마스터, 마인드, 무브, 미팅, 베이스 캠프, 비즈니스, 센터, 스마일, 스케일, 스톱, 스푼, 시티 투어, 아지트, 에너지, 텍스트, 트라우마, 파티 등이다. 뭐 늘어놓자면 끝이 없겠지만 이것들은 책에 벌여 있는 보기 가운데 내가 곧잘 언짢아했던 것이다. 예전에는 이런 낱말들을 우리말로 바꿀 때 사전만 있으면 다 될 줄 알았는데 그렇지도 않다는 게 슬프다. 나처럼 글을 쓸 때 인터넷에 있는 사전을 자주 쓰는 사람이라면 그게 다 옳은 것은 아님을 이미 알고 있을 것이다. 예시랍시고 영어를 쓰는 일도 많고 한국말이긴 하나 같은 뜻을 나타내는 낱말을 겹쳐 뜻풀이를 해놓은 것도 수두룩하다. 이럴지니 상황이 좋아질 까닭이 없다. 그러나 모든 낱말을 우리말로 바꾸는 일이 까다로운 건 아니다. '숟가락'을 굳이 '스푼'이라 할 이유가 있을까? 마땅히 바꿀 만한 말이 없어서 어쩔 수 없이 영어를 쓰는 때가 아니라면 부지런히 본보기를 익힐 일이다.

 

제아무리 우리말과 우리글을 어여삐 여겨도 누구든 말이 헛나오거나 글을 잘못 쓸 때가 있다. 따라서 지은이가 줄기차게 이야기하는 것처럼 무엇보다 스스로 말삶을 일구는 일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잘못된 것을 한꺼번에 고칠 수 없다면 더더욱 그러하다. 허투로 말하는 일을 거두잡고, 아름다운 한국말을 끌어안고, 우리 넋과 얼을 생각할지어다. 끝으로 책을 읽으면서 밑줄을 굵게 그었던 대목을 되뇌며 내 말과 글을 사랑하는 마음가짐을 다잡는다. 말은 생각을 잡아먹거나 살찌웁니다. 어떠한 말을 하느냐에 따라 내 생각은 나날이 야윌 수 있고 나날이 아름다워질 수 있습니다. 삶은 말을 뒤흔들거나 가꿉니다. 어떠한 삶을 꾸리느냐에 따라 내 말은 날마다 어수선할 수 있고 날마다 싱그러울 수 있습니다. 말을 옳게 가누면서 생각과 삶을 옳게 가눕니다. 말을 아무렇게나 내팽개치면서 생각과 삶 또한 아무렇게나 내팽개칩니다. 삶을 옳게 나눌 때에 생각과 말을 옳게 가눕니다. 삶을 함부로 내동댕이치는 사람이라면 생각과 말 또한 함부로 내동댕이치는 매무새에 익숙해지고 맙니다. (17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