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치 넘치는 원제, Outside of a Dog.

이 책이 독서에 관한 것이라는 사실을 안다면 요 어구가 어떤 문장을 이끌고 올지 상상 가능하다. 그루초 막스의 독서명언으로 알려진 Outside of a dog, a book is man's best friend. Inside of a dog it's too dark to read. (개를 제외하고 책은 인간의 가장 좋은 친구다. 개에 푹 빠져 있으면 독서를 할 수 없다. Groucho Marx, 네이버 어학사전)

직역해서 제목을 붙였으면 ‘개를 제외하고’, ‘개 말고는’ 정도 되었을까, 그렇다면 코니 윌리스의 <개는 말할 것도 없고To Say Nothing of the Dog>와 헷갈렸겠다.


책에 관한 (번역)서적이 자주 그러하듯 이 책도 어느 정도 갈증을 남기는 것이, 우리말로 읽어볼 수 없는 작품들 때문이다. 짧은 리스트(번역출간해주세요;;)를 남기려고 한다. 근데 그 전에 잠깐.

다 읽고 나서 생기는 갈증에 더해 이 책은 심한 부러움까지 당당하게 남기고 마는데, 옥스퍼드(학생으로), 워릭(선생으로) 정도 다니니까 쓱 마주치는 사람만 해도 그 이름들이 참 화려하다는 것. 기억에 남은 몇 장면이다.


10대의 게코스키를 온통 사로잡고 있던 <호밀밭의 파수꾼> ‘홀든과의 동일시에 종말을 고하는 신호탄’이 되었던 무려, 앨런 긴즈버그.


나는 그 당시 워릭 대학에서 영문학을 가르치고 있었는데, 긴즈버그의 낭송회가 바로 그곳에서 열렸다. 낭송회가 끝났을 때 여전히 감동에 사로잡혀 있던 나는 우연히 그와 나란히 서서 소변을 보게 되었다. 내가 그에게 빚진 것이 있음을 털어놓을 기회, 유일한 기회였다. 대체 어떻게 말해야 할까?

“고맙습니다.” 내가 말했다.

“천만에요.” 그가 미소를 지으며 대꾸했다. (74쪽)


긴즈버그가 26년생이니까 게코스키와는 한 20살 쯤 차이가 나려나, 같이 오줌을 누는 이런 영광이(?!) 다 있나.

워릭 대학에 임용된 후 학과장이 대학 구경을 시켜 주던 날의 만남은 정말 압권, 문단이 좀 길다.


우리가 복도로 나가 엘리베이터로 향했을 때 아주 놀라운 인물이 성큼성큼 우리 쪽으로 다가왔던 것이다. 흡사 시대정신 자체의 힘으로 움직이기라도 하듯 자주색 스웨이드 바지 차림을 한, 대담한 균형미를 갖춘 여인이었다. 그 바지를 ‘가우초’라고 불렀던 것 같다. 우리를 향해 돌진하고 있는 그녀를 보자 남녀 양성의 매력이 뚜렷이 드러났다. 오목하고 강인한 턱, 높은 어깨, 교묘하게 헝클어진 검은 머리 타래, 튀어나온 엉덩이. 마치 튜턴족 신화에서 불가사의하게 빠져나온 인물이거나 젊은 시절 여장을 한 로버트 미첨 같았다.

헌터(학과장)가 사납게 다가오는 그녀에게로 걸음을 옮겼다.

“저메인.” 그녀의 무례해 보이는 태도를 은연중 나무라는 듯한 굳은 어조로 그가 말했다. “우리의 새 동료 릭 게코스키를 소개해도 되겠소?”

그녀가 우뚝 멈춰 섰다.

“아시는지 모르겠지만,” 조증 환자와도 같은 강렬한 눈길로 쳐다보는 그녀를 보자 차라리 존 뉴턴(조금 더 전에 소개 받은 위압적인 다른 교수) 쪽이 더 낫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제가 방금 바지에 똥을 쌌거든요.”

그 말에 대체 뭐라고 대꾸하겠는가? 그러고 나서 저메인은 빠른 걸음으로 가 버렸다. 나는 정말로 이런 일이 일어난 것인지 확인이라도 하듯 헌터를 쳐다보았다. 그는 보일락 말락 어깨를 으쓱여 보였다. (204~205쪽)


<거세된 여자>의 저메인 그리어인데, '여장을 한 (젊은 시절) 로버트 미첨'에서 빵 터졌다. 


 


가만히 보니... 예리한 안목이라고 해야겠구나. 그 강렬한 만남 이후로 그리어는 게코스키 부부와 좋은 친구가 된다. 옮겨놓고 보니 웬 똥오줌이 이렇게. 다음은 위생적으로도 아름다운 만남임.


그(존 베일리)의 말더듬은 옥스퍼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겉치레가 아니라 다음에 올 음절을 필사적으로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의 말을 듣는 이는 그가 음절을 찾는 데 성공하거나 아니면 차라리 포기했으면 하고 기도하게 마련이었다. 그의 대화 상대는 인내심을 가져야 했다. 왜냐하면 자신이 지도하는 학생이 개별지도에 익숙해지면서 그도 어느 정도 안정을 찾게 되고 말더듬도 한결 나아지니까 말이다. 그로부터 몇 년 후 워릭 대학에서 그의 강연을 들었던 기억이 나는데, 그때 나는 그의 아내인 아이리스 머독 옆자리에 앉아 있었다. 그녀는 남편이 더듬거리기 시작하자 걱정스럽다는 듯이 주먹을 꼭 쥐었다. “처음 몇 분만 지나면 괜찮아진답니다.” 그녀가 불안한 태도로 내 손을 꼭 잡고는 그렇게 말했는데, 실제로 그렇게 되었으나 그 순간이 오기까지가 끝없이 길게 느껴졌다. (223쪽)


<바다여, 바다여>의 아이리스 머독, <아이리스>의 존 베일리, 영화 <아이리스>로 유명한 그 부부 맞다. 저자는 논문지도교수의 휴가로 인해 1년간 베일리의 지도를 받았다. 자신의 지도교수보다 더 '재미가 있었'고 무척 온화한 사람이었다는 저자의 언급.







이런 환경 쩝, 나도 부러운데 영문학 전공자라면 얼마나 더할까. 그 부러움과 분함(?)을 폭발시켜 아름답게 번역해 주시기를 바라마지 않는 책들 되겠다 ;)


게코스키의 60년대 기억 속에서 언급되는 책들로, 헌터 톰슨Hunter S. Thompson의 <지옥의 천사들The Hell's Angels>, 

톰 울프Tom Wolfe의 <전기 쿨에이드 산성 실험The Electric Kool-Aid Acid Test>.


히피적인 캘리포니아에 대한 냉정한 기록물인 조앤 디디온의 <베들레헴으로의 배회>는 새로이 잠식하고 있는 삶의 형태에 대한 메일러의 열광을 진정시키는 유용한 해독제 역할을 했다. 그보다 덜 수사적이면서 훨씬 기백이 넘치는, 동일한 장소와 시대를 무대로 한 톰 울프의 취재물은 켄 키지와 그의 ‘즐거운 장난꾸러기들’ 무리에 초점을 맞추었다. ‘전기 쿨에이드 산성 실험’이라는 제목이 붙은 이 책에 대한 소식을 처음 접한 것은 <뉴욕 타임스>지 1968년 8월호에서였는데, 거기에서 울프는 이 책의 바탕이 된, 이 작품을 쓸 때의 경험담을 풀어 놓았다. ‘이 글을 쓰는 동안 무시무시했다. …… 저 ‘장난꾸러기들’ 모험에서 줄곧 느낀 것은 섬뜩할 정도의 4차원 세계였다. 원고 대부분을 단숨에 써 버려서 책이 나왔을 때 과연 어떤 모양이 될지 오늘까지도 감이 오지 않을 정도다.’


그리고 또 반가운 이름, 제프 다이어도 있다. 그가 늘 쓰고 싶어 했던 ‘로런스북’. 구글링해보니 일종의 전기인 모양, 로런스가 지냈던 장소들 (성지)순례도 포함하여 쓴다는 것에 관한 사색을 보여주는 책인 듯. 다이어의 로런스라니 정말 끌린다. <순전한 격정에 사로잡혀: D. H. 로런스와 씨름하기Out of Sheer Rage: Wrestling with D. H. Lawrence>


1년 후에 나는 다시 출판사 측에, 현재 인생과 사랑 모든 면에서 불행한 대학 강사가 D. H. 로런스에 관한 비평서를 쓰는 내용의 소설을 쓰고 있다는 편지를 보냈다. 그것은 로런스의 경험과 사상을 대학 강사의 삶과 관련짓는 소설이 될 것이라고 했다. 그런데 얼마 후에 그런 책이, 그것도 하나가 아니라 두 권씩이나 나왔다. 첫 번째 것은 버나드 맬러머드가 쓴 <뒤뱅의 삶>인데, 그 소설은 내 책이 나올 예정이었으나 나오지 못한 1979년에 출간되었다. 두 번째 1997년, 제프 다이어Geoff Dyer의 <순전한 격정에 사로잡혀: D. H. 로런스와 씨름하기Out of Sheer Rage: Wrestling with D. H. Lawrence>라는 멋진 제목의 멋진 책이었다. 결국 내 계획은 충분히 실행 가능했던 것이다. 단지 내가 그 계획에 부적절한 사람이었을 뿐이다. 나는 단 한 줄도 쓰지 못하고 말았다. (235쪽)


나는 여기서 처음 본 이름인데, 검색해보니 청소년 도서로 꽤 여러 권이 번역되어 있는 칼 하이어센Carl Hiaasen. <스캣!>은 당장 주문했다. 그러나 게코스키가 열정적으로 언급하는(그리고 심지어, '문학보다 낫다!'는 찬사를 받은) <이중의 불운Double Whammy>은 나와 있지 않다.'문학보다 나은' 게 도대체 어떤 의미일까.


내 판단이 맞았다. 그의 소설은 플로리다의 탈락한 주지사 후보로서 스킹크라는 이름으로 에버글레이즈에 은둔한 채 로드킬로 살아가고 있는 클린턴 타이리라는 애꾸눈 주인공이 등장하는 블랙코미디였다. 소설에는 괴짜에서부터 완전한 미치광이에 이르는 다양한 인물이 등장했다. <이중의 불운>은 남부 괴기소설의 전통을 따르고 있지만, 입안자와 개발자, 온갖 협잡꾼들이 얄팍한 돈벌이 수단으로 남플로리다 풍광을 모독한 데 대한 하이어센의 분노가 그 구상에 생기를 불어넣었다. 경이롭고 놀라운 어조와 내용으로 가득한 그 작품 때문에 나는 움찔했으며 폭소를 터뜨렸고 정당한 분개에 동참하게 되었다. (322쪽)


토머스 해리스의 <양들의 침묵>에 꽂혀 범죄학을 전공하게 되는 딸 애나의 이야기가 이 책의 18장이다. 저자의 뿌듯함이 엿보이는 한편 애나의 책에도 무척 흥미가 간다. 브라이언 마스터즈Braian Masters, 애나 게코스키Anna Gekoski의 <기계적인 살인: 1950년 이후 영국의 연쇄살인범Murder By Numbers: British Serial Sex Killers Since 1950>. 이 책 이후 애나는 난데없이 '구두'(정말로, 발에 신는 그것) 쪽으로 관심을 돌렸다고 하니 같은 저자로부터 이런 류의 책 다시는 못 보게 될지도 모른다. 표지사진이 없군.


어떻게 이 일이 일어난 것일까? 대부분의 독자들은 <양들의 침묵>을 잊고 지나갔지만, 애나는 그 책에 매혹되고 그 책 때문에 변화했다. 예기치 못한 어떤 내적 씨앗이 발아한 것인데, 그 애 자신이나 우리가 그 과정을 통제할 수 있는 방법은 거의 없어 보였다. 클래리스 스탈링이 아니었다 해도 다른 누군가가 그 역할을 맡았을 것이다. 아니면 이것은 과격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마음 놓이는 생각인데, 자신이 버려지고 학대받았다고 여기는 분노한 그 소녀가 만약 FBI의 여걸이나 희생자들이 아니라 살인자들과 자신을 동일시하기라도 했다면 어쩔 뻔했는가? 무의식적인 역할 모델이 클래리스 스탈링이 아니라 한니발 렉터였다면? (340쪽)


마지막으로는 아들 버티와 축구. 저자의 다른 책이다. <스테잉 업Staying Up>. 축구를 좋아하지 않는 나로서는 그리 솔깃하지 않았는데, 영국과 미국을 오가며 ‘영국스러움’과 ‘미국스러움’ 사이 분열을 겪고 있던 저자가 비로소 찾은 자신만의 음성으로 썼으며 꼭 축구 얘기가 아닌 일종의 ‘여행기’로 볼 수도 있다고 하니 읽어보고 싶어졌다.


<스테잉 업>을 읽은 한 친구는, 자신은 축구에 관심이 없지만 그 책을 보고 내가 버티를 얼마나 사랑하는지를 알았다고 말했다. 축구 시합을 보러 다니는 일은 매주 함께했던 골프와 마찬가지로 부자간의 유대를 돈독하게 하는 통상적인 절차였지만, 나는 언제나 그 애한테 또 다른 유대감도 느꼈다. 버티는 내 아버지를 연상시켰고, 그 대신이라는 느낌을 주었다. 그것은 버티의 분별력이 뛰어났기 때문만이 아니라, 애나가 태어난 직후 어머니가 돌아가신 것처럼 버티도 그 애가 태어난 직후에 아버지가 돌아가셨기 때문이다. 우리 집안의 경우에는 유전적 교체가 무자비할 정도로 정확하게 들어맞는데, 버티의 귀여운 유아기는 아버지의 마지막 나날들과 연결돼 있다. (388~389쪽)



여기까지다. 끝으로 저자의 반짝이는 사랑의 한 장면을 옮겨 놓는다. 어느 화가의 전시회 오프닝에서의 일.


아는 사람도 없어서 몹시 지루해 하고 있는데, 갑자기 누군가가 내 발을 밟았다. 아주 매력적이고 쾌활하며 상냥해 보이는 한 여성이 돌아보고는 별로 당황하는 기색도 없이, “죄송해요!”하고 말했다.

“괜찮습니다. 뭐, 한 번 더 밟으셔도 좋을 정도입니다.”

“막 담배를 피우러 나가려던 참이었어요.”

“그렇다면 저도 함께 가야겠군요.” (393쪽)


진정, 저 말 "괜찮습니다. 뭐, 한 번 더 밟으셔도 좋을 정도입니다."는 꼭 한 번 해보고 싶은 말이다. 전시회도 가야겠고 밟히기 좋은 신발도 찾아놓아야... 씁- 

책을 얘기한다는 건 결국 자기를 얘기한다는 것. 게코스키의 책들은 사랑으로 수렴되었다. 이 책에 꼼짝없이 기록된 내 새벽시간(축축한 봄비와 캔맥주), 이제 나를 얘기할 또 하나의 책이 더해진 거다.



Will you still need me, will you still feed me

When I'm sixty-four?

Every summer we can rent a cottage in the Isle of Wight If it's not too dear

We shall scrimp and save

Grandchildren on your knee

Vera, Chuck & Dave


비틀즈의 'When I'm 64', 게코스키의 64세 독서편력 헌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