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편 복도, 켄턴 양의
집무실, 닫힌 문 앞에 홀로 서 있는 내 모습’을 회상하는
달링턴 홀의 집사 스티븐슨. 『나를 보내지 마』에서라면, 가즈오
이시구로는 바로 이 모습만 보여주고 넘어갔을 테지. 그런데 우리의 화자이자 주인공 스티븐슨은 기어코
‘내 가슴은 갈기갈기 찢기고 있었다’라고 쓰고 만다. 품위, 기품, 위대함을
논하던 스티븐슨은 저 말을 덧붙여서 오히려 스스로의 품위를 떨어뜨리고 만다. 소설 도입부에서 영국의
자연풍광에 빗대 ‘위대함’이란 ‘자기 자신의 아름다움을, 위대함을 자각하고 있어 굳이 소리 높여 외칠
필요를 느끼지 못한’다고 말해 놓더니. 결국 자기 인생의
가장 중요한 날이 되었을지도 모를 그날을 회상할 때 조차 자신을 ‘소리 높여’ 자랑하고 싶어 하는 그. 우스꽝스럽게 느껴지기까지 하는 그 ‘변함없는’ 모습에 풉. 하고
웃을 수 밖에.
그가 회상하는 하나하나의 에피소드, ‘그냥 알게 된다’ ‘소상히 듣고 나면’ ‘덧붙여야 할 것 같다’ 등을 상투적으로 사용하는 언어습관, 주인인 달링턴 경을 옹호하려
할 때(그리고 곧 실패할 때), 무엇보다 켄턴 양과의 사이에
벌어졌던 사건들이 스티븐슨이 어떤 사람인가를 구체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영국식 유머라는 것. ‘미스터 빈’이나 워킹 타이틀의 로맨틱 코미디 영화에서 보듯, 가장 중요한 순간에 ‘느낌’과
정반대로 ‘행동’하고 마는 그. 집사로서의 ‘위대함’이라는
개념에 매몰되어 그렇게 행동했음을 최후 변론하듯 풀어나가지만 여기저기 구멍이 숭숭 뚫린 게 빤히 보이는 그.
소설의 외피인 아련함, 후회의 정서를 가볍게 쓰다듬는 손길이 느껴진다. 그건 기대감. 긴 세월을 건너 켄턴 양을 다시 볼 수 있게 된다는
설렘이 만들어낸 달콤함.
‘잘못된 CEO를 모시는
한 직장인의 일과 사랑’. 현대적으로 말하자면 이리 정리해도 좋을 스토리. 잘못된 상사, 모신다, 사내
연애. 키워드를 대략 추스르자면 이렇겠지만 물론 그 말은 온당치 않다.
지금 나는 몹시 서두르고 있다. 이 느낌을 우회해서, 우회함으로써
정확히 표현하고 싶은데 안 된다. 전에 사내 연애를 해 봤던 그리고 결국 헤어져 봤던 사람들이라면 수긍할만한, 파랗게 적셔오는 잔물결 같은 느낌 때문에 거리감을 유지하기 어렵다.
과거를 회상하는 장면과 지금 하고 있는 여행이 교차하면서 만들어내는 서사적 리듬이 설렘의 시간은 연장시키고 실망의 시간은
지연시켜, 결국 ‘닫힌 문 앞에 홀로 서 있는’ 스티븐슨을 도드라지게 한다. 이 지점은 『나를 보내지 마』에서 캐시가
흐느끼던 순간만큼이나 내 숨을 멈추게 했다. 그는 자신의 삶을 전부 ‘위대함’을 위해 연소시켰다고 생각했지만, 결국 자기 삶을 부식시키고 말았다는
것을 깨닫는다. 하지만 모르겠다. 우리에게 이 깨달음은 중요하지
않다. 아직 부식되지 않고 남아 있는 것. 남은 삶에 대한
그의 자세가 중요할 뿐. 진짜 좋은 것들은 잡지 못하고 끝내 자잘한 것들만 챙길 수 밖에 없는 삶이더라도. 나는 끝내 설득되고 만다.
덧.
앞으로 읽을 모든 소설까지를 포함하더라도 기억될만한 극소수의 러브스토리 중 하나. 라고
말한다면 과장이 심하다고 하겠지.. 다 잊힌 줄 알았는데 내게도 여전히 노스탤지어가 남은 모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