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낱말이 한 개 주어진다. 그리고 그 낱말을 중심으로 하나의 문단을
쌓아간다. 두텁다. 갤러리에서 액자에 담긴 하나의 사진을
감상하고 옆에 있을 또 다른 액자로 걸어갈 때 앞에 본 사진의 반향이 앞으로 볼 사진의 감상과 섞일 때 일어나는,
묘한 두터움이 줌파 라히리의 글에서 느껴졌다. 이 두터움은 감수성과 절제 사이의 균형이라고도
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세 건의 사건. 하나는 소소한 것처럼 보이고 두 개는 치명적이다. 우다얀의 죽음, 가우리의 떠남은 치명적이었고 수바시의 유학은 소소한
것처럼 보이지만 중요한 사건이었다. 우다얀의 죽음. 그 부분을
읽을 때 세월호가 침몰됐다. 배 안에 갇힌 희생자들의 공포와 우다얀이 총살당하는 것을 보고야 만 그의
부모와 아내 가우리가 느꼈을 충격이 나를 휩쓸어버렸다.
한참의 분노와 슬픔. 다시
더디게 읽어나가는 내게 저 두터움이 선연히 다가온다. 라히리의 두터운 ‘숨’은 수바시, 우다얀, 가우리, 벨라, 비졸리. 그들에게 기품을 부여하는 것 같았다. 완벽과는 거리가 멀기에 각자의
인물들이 어찌할 수 없이 벌인 일들로 인한 비극적 결과들. 그럼에도 그들을 도덕의 잣대로 함부로 말할
수 없게 각자에게 아우라를 드리워 주고 있었다. 또한 그 두터움은 보호막이 되어 안쪽의 화자, 독자에게 자리를, 자기만의 방을 마련해 주는 듯 했다. 고독의 자리. 지울 수 없는 상처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회생할 수
있는 최소한의 터를.
#
새끼 물떼새는 어떤 행동을 보이는지 알아요?
아니요.
걔들은 하늘에서 무리 지어 날아요. 어른 새들이 계속해서 서로를 부르기 때문이죠. 그렇게 노바스코샤에서
브라질까지 그 먼 길을 줄곧 날아간대요. 어쩌다가 물위에서 쉴 때를 빼고는 말이에요.
물떼새는 바닷물 위에서 잠을 자나 보죠?
캘커타의
물이 가득 찬 저지대를 부레옥잠이 뒤덮고 있고, 로드아일랜드의 바닷가에는 새들이 쉬고 있다. 물이 가득 찼던 저지대는 이제 흔적을 찾기 어렵게 되었고, 새들은
상실의 슬픔 위에서 잠든다. 납득 불가능하더라도 끝내 애도로 보내야 한다는 말은 쉽다. 추억과 상처는 산 사람들의 먹이가 된다는 말은 부도덕하게 보인다. 방법이
없다. 서로 부를 수 밖에. 서로를 계속해서 부를 수 밖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