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이 제법 더워 새벽에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키는데 시원하고 청량한 바람이 불었다.

집 근처 어딘가에서 들려오는 새들이 지저귀는 청아한 소리를 들으며 멍하니 바깥을 내다보는 평온한 이 하루의 시작이 호사스럽게 느껴진다.

요즘은 프리모 레비의 <이것이 인간인가>를 읽고 있다.
아우슈비츠 수용소를 다룬 영화나 책은 접할 때마다 늘 마음이 너무 괴롭다.

(P.34) 스스로를 비춰볼 거울은 없었지만 우리의 모습은 우리 앞에 서 있는 100여개의 창백한 얼굴들 속에, 초라하고 지저분한 100여명의 꼭두각시들 속에 반사되어 있었다. 이제 우리는 어젯밤에 얼핏 본 그 유령들로 변해 있었다.


작년에 개봉한 <존 오브 인터레스트>라는 영화는 아우슈비츠 수용소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수용소 바로 옆에는 수용소 소장과 그의 가족들이 지내는 대궐처럼 호화스러운 집, 천진난만한 웃음으로 아이들이 뛰어 노는 수영장이 딸린 넓은 마당, 아름답게 피어있는 손질이 잘 된 꽃으로 가득 한 정원이 우리들 눈 앞에 펼쳐진다.

우리가 알고 있는 아우슈비츠 수용소의 참상은 단 한번도 이 영화에 등장하지 않는다. 그러나 또 다른 역한 감정에 바로 사로잡히게 될 것이다.

귀가 너무 고통스럽다.
담장 너머 그곳에서 들려오는 위엄 없는 총소리.
신경을 곤두서게 만드는 자그러운 고함소리.
줄을 지어 어디론가 끌려가는 그들의 무기력한 발자국 소리.

눈이 너무 고통스럽다.
희생양이 된 유대인들의 옷과 장신구를 주렁주렁 매달고
거울 속 자신의 모습을 향한 만족스러움을 드러내 보이는 수용소 소장 부인의 비릿한 웃음이.
가스실 굴뚝에서 매일같이 뿜어대는 그들의 영혼으로 하늘을 덮어버린 연기가.


아픔을 다룬 책에 눈길이 간다 .
내가 모르는 만큼 더 알고 싶다.
헤아려보는 시간동안 고통 받은 영혼들을 위로할 수 있길 바라는 마음으로 말이다.

사랑을 담은 책에 손길이 간다.
인간의 끝도 없는 욕심이 도대체 어디까지 뻗어 올라갈 수 있을까 싶은 추악한 이야기들로 뉴스를 채우는 요즘,
그럼에도 살아볼 만한 삶이라는 것을 놓치지 않기 위하여.

점점 흐릿하게 희미해져 윤곽을 잃어버렸던 삶의 목표를 다시금 찾을 수 있도록, 희망을 갖고 살아낼 만큼 가치가 있는 삶이라는 것을 깨우칠 수 있도록 말이다.


특별하진 않지만 당연하지도 않은 일상이 흐르고 있다.
쉬는 날, 외곽으로 나가 울창한 숲을 찾아 산책하기 참 좋은 날씨인 요즘이다.

집에 돌아오니 주문한 책이 도착했다.

이제 곧 여름이 오는 것을 알려주는 듯이
박스에서 꺼낸 책들도 제법 ‘후끈‘한 온도를 품고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