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의자 X의 헌신 - 제134회 나오키상 수상작 탐정 갈릴레오 시리즈 3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양억관 옮김 / 재인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삶을 마감하려는 그 순간, 수학교사 ‘이시가미’의 고독과 휘휘한 공기로 가득 한 집에 벨이 울린다. 그의 눈 앞에 나타난 예쁜 눈을 가진 두 모녀. 운명의 순간이다. 이사 왔다며 인사하는 그들의 모습만 바라봐도 다시 삶의 기쁨을 얻는 것 같다.

(P. 326) 다른 것을 일절 생각할 필요가 없고 잡다한 일에 시간을 빼앗기지도 않으면서 오로지 난제를 푸는 데 몰두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이시가미는 때로 그런 망상에 사로잡히기도 한다. 과연 살아 있을 동안 이 연구를 완성할 수 있을까 싶어 불안이 엄습할 때면 그것과 아무 관계가 없는 일에 낭비하는 시간이 아깝기 그지 없었다.

‘이시가미’는 건조한 가을 바스라지는 낙엽만큼이나 메마르고 허우룩한 마음으로 매일 수학 이론과 함께 죽음를 생각했다. 그의 삶에 있어 낙원이란 그저 종이와 펜 없이도 수학문제와 싸울 수 있는 그의 두뇌 뿐.
그런 그에게 운명처럼 나타난 두 모녀에게 뭐든지 해 주고 싶다. 당연하다. 자신을 다시 살게 해줬으니까......

(P. 438) 사람은 때로 이 세상을 살아가는 것만으로도 누군가를 구원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시가미’의 헌신적인 사랑을 들여다보는 동안에 내 머릿속에는 양귀자 작가님의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의 주인공 ‘강민주’에게 헌신하는 그녀의 심복 ‘황남기’가 자꾸 떠오른다. 사랑을 표현하는 방식이 보통의 사람들과는 다르다는 것과 그 과정들에서 오는 혼란과 ‘집착’하는 심리 때문일까?
어둑발이 내려앉은 듯한 사랑의 결말이 예상되어서 인가보다. 그 허망함.


이 책에서 다루는 살인사건을 흥미롭게 바라보는 인물이자 수사에 난항을 겪는 경찰들이 자문을 구하는 물리학자인 ‘유가와’(이시가미와 동창)는 예리한 직감을 통해 이미 사건의 용의자를 알아낸다. 수학교사 이시가미와 물리학자 유가와, 이 두 천재의 대화 그리고 그들의 치밀함과 이론적으로 파고드는 과정속에서 전달되는 에너지가 굉장한 긴장감을 자아낸다.

유가와는 이시가미의 모녀를 향한 이성 잃은 희생을 알아보고 안쓰러워한다. 그런 마음이 참 고마웠다. 곁에 아무도 없는 이시가미를 착잡한 마음으로 걱정하고 생각해주는 사람이 있다는 자체만으로. 그 안에는 잃고 싶지 않은 수학자이자 친구를 향한 연민이 담겨 있다. 진하게 느낄 수 있었다.
물론 유가와로 인해 이시가미가 설계한 철저한 알리바이는 선입견을 지우니 그 속에 모녀를 향한 배려를 더욱 드러나게 한다. 그러나 신체를 구속 당하는 일쯤이야 애초에 상관 없었던 이시가미다. 이미 다 각오한 일. 정작 그를 포효하게 만드는 일은 그런게 아니니까.

무모한 사랑에 의구심이 생길 법도 하다. 그래서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든다면, 이 책 마지막을 읽고 ‘그래...그럴수도 있겠다’라고 납득이 될 것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은하수 2025-04-01 13: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때 히가시노 게이고의 많은 작품들 중 최고라고 생각했던 작품입니다
그만큼 그 반전이 소름이었거든요!

곰돌이 2025-04-01 14:04   좋아요 1 | URL
틈틈이 시간 날 때마다 읽었는데 매번 그 다음 내용이 궁금해서 멈춰야 할 때가 아주 아쉽더라고요. 추리 내용만 담은 소설이 아니라서 더 좋았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