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 앙투아네트 베르사유의 장미
슈테판 츠바이크 지음, 전영애.박광자 옮김 / 청미래 / 200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활발하고 화려하며 평범하기 그지없는 보통의 사람이었던 마리 앙투아네트.

방탕한 마리 앙투아네트의 궁정비 지출로 인한 막대한 부채도 언제나 너그러운 마음으로 처리해줬던 착한 남편이자 우유부단하고 의지가 약했던 루이 16세. 슈테판 츠바이크는 이들의 특질들을 뜨끔 할 정도로 직설적으로 많이 표현했지만 그것이 고통스러울만큼 혐오스럽거나 아프게만 느껴지지 않았다. 아무래도 저자가 이들에게 연민이나 안타까움을 가졌던게 아닐까싶다.

마리 앙투아네트가 베르사유 성에서 아침에 눈을 떠 가장 먼저하는 일은 의상실에 있는 모든 의상을 조그만 견본으로 만든 책을 보고 무엇을 입을지 고르는 것이였다고 한다. 저자는 이 일이 그녀에게 얼마나 어렵고 책임이 막중한 선택이었을까? 라며 꼬집는다. 그러니 당시 프랑스 국민들의 상황을 떠올리자면 루이16세와 마리 앙투아네트를 감싸줄 수 만은 없다.
그녀의 세상은 늘 언제나 2,000만 프랑스 신민들과 함께 하는 것이 아닌 화려하고 텅텅 빈 머리를 높은 탑으로 쌓아올리며 그 탑의 손상을 막기 위해 마차도 무릎을 꿇고 타야하는 (고귀한 분들께서) 궁중 귀부인들로 가득 찬 세상이었다. 그러니 이 당연한 것들을 별나게 여기며 언제나 근심 가득 찬 마리 앙투아네트의 어머니 마리아 테레지아의 목소리는 딸에게 닿을 수가 없었다.

나는 이 책을 읽을수록 그녀가 빠져죽을 것을 알고도 물가로 밀어 넣으며 자신들의 금고 채우기에만 민활한 주변사람들에게 환멸감을 느꼈다. 더 없이 부족함이란 것을 모르고 지냈을 마리 앙투아네트에게 ‘불안’과 ‘결핍’이 만들어낸 사치를 부추기는 그들.

능력이 부족한 그 자리와 무게에 맞지 않는 자가 나라를 맡게 되었을 때의 그 처절한 과정과 눈에 훤한 결말은 나와 우리 모두가 과거의 역사를 통해서도 알고 불행하게 현재에도 겪고 있는 것이기에 더욱 가슴 답답하게 읽어내려갔다. (그러나 루이16세와 마리 앙투아네트는 어린아이 아닌가......) 본인들이 부족해도 주변인들의 도움을 받아 나라를 잘 닦아나갈 수 있었을텐데 안타깝게도 그런 사람들을 분별하지도, 다루지도 못 했다. 그렇기에 결국 세상 어려울게 없고 그저 원하면 다 얻을 수 있었던 동화 속 예쁜 공주님이 오색빛깔 찬란한 꿈속에서 눈을 떠 현실을 바라보니 눈 앞에는 시퍼런 단두대 앞이었다.

그녀의 어린시절은 정말 놀기 좋아하는 15살 아이였다. 체력은 어쩜 그리도 좋은지 늦은 새벽까지 놀아도 몇 시간 잠도 안 자고도 활기를 띠는 그녀의 일상들을 읽어내려가면서 참 가혹하고 안타까운 인생처럼 느껴졌다. 내심 그녀를 너무 측은하게만 바라보는 것이 조심스럽기는 하지만 나의 시선에 그녀는 그저 어린 아이일 뿐이다. 악의라고는 하나 없는 보통의 여자아이.

“인생이 까닭없이 주는 것은 아무것도 없으며 사람들이 운명으로부터 받는 모든 것에는 은밀한 값이 매겨져 있다는 것을 알기에는 아직 너무 어렸다.” (P. 134)

고통이 마리 앙투아네트에게 첫 스승이었고 삶을 배우게 하였고 철들게 하였다. 사랑하는 사람들과의 헤어짐으로 인한 괴로움이 그녀에게는 가장 견딜 수 없는 고통이었다. 할 수 있는 것은 훌륭하게 죽는 일 뿐이었으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