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것도 하지 않는 사람 - 폴로어 25만 명의 신종 대여 서비스!
렌털 아무것도 하지 않는 사람 지음, 김수현 옮김 / 미메시스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마미야 카린이나 마쓰모토 하지메, 사카구치 교헤 같은 사람들 때문에 일본이 부러웠던 적이 있다.그들은 지금 어떤 삶을 살아가고 있을까?  그렇게 시스템 바깥에서 새로운 삶을 만들어 가던 사람들이 한국에도 있을까? 예전엔 김어준이 비슷한 느낌이 나던 시절이 있긴 했는데.  저자는 3년간의 회사생활 동안 상사 갑질을 견디지  못하고 퇴사한 후 프리랜서 활동을 하다가 아무것도 하지 않고 단지 존재하기만 하는 역할만 하는 무료 서비스를 시작했다. 읽다 보면  무라카미 하루키의 코끼리 공장의 해피엔드 같은 수필이 떠오르기도 한다. 물론 이 책에 그런 유머나 위트가 있다는 건 아니고 목적없이 한가한 느낌이 난다는 이라는 의미에서 그렇다. 사람들은 전부 지쳐있는 것 아닐까. 의미와 목적, 상대방에 대한 기대와 배려, 책임같은 것이 넘쳐나서 그걸 견디지 못한 사람들은 레나 모제의 <인간증발> 처럼 증발해버린다. 아마 주식투자를 한 것 같은데 저자는 그렇게 벌어놓은 돈으로 이 무료 서비스를 하고 있다고 한다. 이 책에서 묘사된 관계의 색깔은 "엷고 투명한 블루"같은 느낌이다. 트위터 디엠으로 연락하다가 클릭하나만으로 헤어질 수 있는 관계들. 고미숙같이 연대와 찰진 인간관계를 말하는 사람들은 혀를 찰지도 모른다. 그런 건 관계가 아니라고. 어쨌든 이제 모두가 단자화된 관계속에서 제일 첫 덕목은 "예의" 아닐까? 아니면 저자의 서비스가 유명세를 탄다는 것은 사람들이 그래도 새로운 관계를 만들어 낸다는 반증일까. "어쨌든 집으로 돌아갑니다" 같은 뉘앙스의.  만약 이 책에서 저자가 어떤 철학 같은 것을 말한다면(마지막에 약간 그런 낌새를 보이긴 하는데) 그것 역시 이 책의 원래 분위기와는 배치되는 것일 게다. 돈으로 모든 것이 교환되는 세상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 중에는 관계의 가성비를 말하는 사람도 있고, 일면 부지의 사람에게 중대사의 고백을 털어놓는 사람도 있다. 이 서비스는 일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대부분 마추지게 될 생산성, 효율성 부가가치 같은 것에 저항인지도 모르겠다. 저자가 그런 원칙을 가지고 이 서비스를 시작한 건 아니다. 저자가 이 일을 시작한건 그냥 재밌을 것 같아서다. 아니면 사람들의 자의식이 너무 강해진 건지도 모른다. 그래서, 더 이상 타인에게 자신의 자리를 내 줄 수 없는 것인지도. 하지만, 타인을 완전히 저버릴 수는 없기 때문에 이런 서비스에 관심을 보이는 것일까. 저자에게도 약간 그런 느낌이 들긴 하다. 오징어 게임의 원조 아이디어 격인 <도박묵시록 카이지>를 보면 이런 장면이 있다. 고층 빌딩 사이를 줄타기로 건너는 내기에 도전한 카이지가 어쩌면 경쟁자가 될지도 모르는 다른 참가자가의 등을 보며(이 참가자는 앞서서 줄타기를 하고 있다) 위안을 받는 장면이다. 카이지도, 상대방도 서로를 도울 수 없지만 카이지는 만약 저 사람이 지금 없다면 지금 이 줄타기는 지옥일 거라고 생각한다. 읽고 나면 많은 생각의 단편이 떠오른다. 결이 약간 다르지만 비슷한 책으로는 구리하라 야스시의 <일하지 않고 배불리 먹고 싶다> 추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하라 - 단 한 권의 소크라테스전
황광우 지음 / 생각정원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술 중심으로 소크라테스에 대한 일별이 가능한 책. 이 책을 네비게이션으로 소크라테스의 저술들을 찾아볼 수 있음.  더 흥미로운 건 참고문헌 리스트.  문장이 밋밋하고 멋이 없어 지루하다는 게 흠.  조금더 깊은 신선한 통찰을 있었더라면 더 흥미로왔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가명 > 시장으로부터 탈출하기

코로나 시국에서 이 담론은 어떤 변화를 겪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테네의 변명 - 소크라테스를 죽인 아테네의 불편한 진실
베터니 휴즈 지음, 강경이 옮김 / 옥당(북커스베르겐) / 201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이 유투브나 넷플릭스 같은 오락을 대체할 수 있을까. 이 책 정도면 대체할 수 있지 않을까. 소크라테스를 키워드로 고대 그리스의 역사를 파노라마 처럼 엮어 내는데, 일단 고대 그리스의 역사 자체가 흥미진진하고 거기에 저자의 이야기꾼 연출이 곁들여 지면서 히스토리 채널 프로그램같은 역사물이 탄생했다. 이런 걸 팩션으로 가기 전 바로 전 단계라고 할 수 있을까? 고대 그리스라는 단어는 내게 지금까지 "고대의 지혜"같은 이미지였다. 하지만 이 책에 등장하는 그리스는 지혜보다 피와 땀,체액 냄새가 난다. 민주주의를 발전시킨 그리스는 민주주의로 주변 폴리스를 침공하는 제국주의였다. 지극히 세속적이고, 능력주의였던, 니체가 혹하고 반할 만한 분위기의 사회였다.  하지만, 역시 문제는 "~우스"로 이어지는 인명과 "~스"로 이어지는 지명을 읽다 인내심을 잃고 " 딴나라 얘기 아냐?"하고 책을 던져버릴 가능성이다. 지도 정도는 조금만 더 상세하게 기재했더라면 싶다. 지은이가 철학 전공이 아니기 때문에 철학적의미를 깊게 소개하는 건 아니다. 그래도, 소크라테스가 어떤 일생을 살았고, 사형선고를 당했을 때 그리스 사회의 분위기 같은 것을 느낄 수 있다. 소크라테스에 관심있으신 분은 입체적으로 그에 관한 상을 구성할 수 있는 책이 될 것 같다.   그런데, 출판사가 제목을 참 잘 정했다 원제는 "hemlock cup" 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캡틴 클래스 -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팀을 만든 리더의 7가지 숨은 힘
샘 워커 지음, 배현 옮김 / 더봄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벼운 마음으로 오락거리로 읽기에 딱이다. 스포츠평론 +경영서+저자만의 통찰+뛰어난 스토리텔링과 가독성이다. 사실 팀 주장은 짬 차면 다 하는 거 아닌가? 싶었는데 승리를 위해서는 악역도 마다하지 않는 캡틴에 저자는 주목한다. 근본적으로 승리란 어떤 의미일까. 오히려 경영자는 승리를 위해서는 자기 고환이 파열된 것도 모르고 승부에 집착하는 캡틴보다 데릭지터처럼 구단에 더 많은 돈을 벌어다 주는 캡틴을 선호하지 않을까. 내가 생각한 광고카피: “캡틴클래스-마이클 조단,크리스티아누 호날두,리오넬 메시는 절대로 할 수 없는 것”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명 2021-10-01 09: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끝없는 승부욕, 허드렛일하기, 의사소통, 킬스위치, 비언어적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