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으로 읽는 종교 이야기 -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탄생의 역사
홍익희 지음 / 행성B(행성비)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종교사에 관한 알쓸신잡. 다른 책을 참고하는 것은 좋은데 문장을 그대로 싣는 것은 좀,,, 오강남 선생님 책하고 똑같은 문장이 나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가명 > all is lost,,,

올 이스 로스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직 오지 않은 소설가에게
마루야마 겐지 지음, 김난주 옮김 / 바다출판사 / 2019년 5월
평점 :
품절


소설가 지망생이 아니어도 재밌다. 읽어보면 감탄과 허탈함이 섞인 웃음이 나온다. 결국 나는 이렇게 살지 못했기 때문이다. 근데 94년작 같은데 너무 늦게 도착한 것 아닐까. 겐지는 지금 어떻게 변해 있을까 지금 이 모습 그대로 살고 있을까 .부디 ‘아직 젊은‘ 누군가가 겐지가 내미는 손을 잡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사랑의 처형자가 되기 싫다 - 실존심리치료, 개정판
어빈 D. 얄롬 지음, 최윤미 옮김 / 시그마프레스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 생각하면 코미디인데 내가 35살 때 27살 여자애를 좋아하면서 나이 때문에 자괴감에 빠진 적이 있다. 그 때는 그녀가 그렇게 젊어보이고 내가 그렇게 나이들게 느껴졌었다. 우울해하면서 책상 한 쪽에 이렇에 낙서를 한 기억이 난다. "괜찮아, 그녀도 늙고 병들테니까"

 

실존이라는 단어는 왠지 거창하게 느껴진다. 저자는 스탠퍼드 교수 출신의 정신과의사로 자신이 겪은 상담사례를 우아하고 섬세하게 엮어낸다. 나무잎맥처럼 바른 삶을 사는 사람에게는 이런 애기들이 구질구질하게 느껴질지 모르겠다. 하지만, 나는 이 책의 등장인물들에게 연민과 동질감이 느껴진다.(특히 35살 연하의 젊은이와 사랑에 빠진 할머니) 이제는 나 역시 어딘가가 뒤틀려있다는 걸 알기 때문이다. 저자는 실존의 부조리를 두 개의 단어로 요약하는 것 같다.

"유한성과 우연성"

정말로 자신의 죽음을 가슴으로 인식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고 저자는 말한다. 상담사례에 등장하는 등장인물들은 자신의 노화와 죽음을 외면하거나 과거의 한 점에 고착되어 있다. 하지만, 저자는 자신의 죽음을 올바로 직시할 때 역설적으로 삶이 풍성해 질 것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우리는 "어째서 나에게 이런 일이" 라고 한탄하지만, 사실 우주의 법칙의 본질은 "불공평"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읽다 보면 환자를 대하는  정신과의사들의 속마음이나 정신과치료가 진행되는 과정 등을 엿볼 수 있다. 얼마 전에 시끄러웠던 빌런 정신과 의사를 떠올리게 하는 케이스도 있는데 결말은 사뭇 다르다. 번역을 못한 것 같지는 않는데 원래 문장이 섬세해서인지 읽을 때는 약간의 집중력이 필요하다. 우울할 때 읽어보면 오히려 마음이 차분해질 것 같다. 책을 읽고 나은 다음에 가급적자주 되뇌이기로 했다.

 

"나는 언젠가 죽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만약 우리가 천국에 산다면 행복할 수 있을까? - 오슬로 국립대학 토마스 휠란 에릭센 교수가 전하는 풍요와 상실의 행복론
토마스 휠란 에릭센 지음, 손화수 옮김 / 책읽는수요일 / 2015년 1월
평점 :
절판


자극적인 제목과는 달리 내용이 너무  장황하다. 새로운 통찰이 있다기 보다 기존의 통찰을 재확인해 주는 수준이다. 팝콘같이 큰 생각없이 씹어먹을 수 있는 책이다 .팝콘의 맛이 그렇게 나쁜 건 아니다. 한 가지 기억에 남는 것은 "국제중산층"이라는 표현. 지은이가 국제중산층을 "일년에 한번 씩 해외여행을 하고... "등등으로 표현하는데 어쩌면 나도 국제중산층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 밑의 주임애는 자기 동기하고 열흘짜리 이탈리아 여행을 떠났다. 내가 중학생이었을 때만해도 제주도가 신혼여행지였는데. 이제는 아이들도 스마트폰이 필수품이다. 과연 우리들의 삶은 발전하고 있는가? 전세계적으로 보면, 어쩌면 헬조선 어쩌고 해도 이미 나는 누군가의 부러움을 사는 국제중산층인지도 모른다. 

 반대로 생각해 볼 수 있는 점은 여전히 세상은 가혹하다는 것이다. 직장에서의 갑질은 여전하고 (물론 이것이 이제는 사회적 이슈로 되는 점까지는 발전했다. 10여년 전까지만 해도 직장의 갑질은 오히려 당연히 참아야 하는 것이었다.). 나는 실업과 가난의 공포 때문에 자신의 시간을 직장에 판다. 두려움 때문에 무엇인가를 해야 한다는 것. 괜히 폼잡는다면 그건 수치스러운 일이다. 여기서 핵심은 돈인데, 돈이 없으면 나는 무기력하기 때문이다. 소비생활의 수준은 높아졌다. 하지만, 뭐랄까 무언가 근본적인 변화는 이루어지지 않은 것 아닐까.

  강신주 박사의 말 "그러고 보면 달라진 게 없어요. 차이가 있다면 요새 노예들은 스마트폰을 쓰는 노예인거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