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파클 (반양장) - 제18회 창비청소년문학상 수상작 창비청소년문학 134
최현진 지음 / 창비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청소년소설을 사랑한다고 누누히 말하지.

많이 본 건 아니지만 볼 때마다 청소년소설은 매력이 넘친다.

우연히 보다 보니 창비청소년문학 작품을 많이 접하게 되었다.

클럽창비와 교사창비클럽 덕분에 좋은 책을 많이 알게 되었고 이 책은 심지어 창비에서 선물 받았다. 이렇게 반짝반짝 행복하고 감사한 일이란... 항상 영광스럽게 생각한다.

내가 만난 작품들은 하나같이 좋았다. (매번 단순하게 좋았다라고 밖에 표현 못 하는 내가 답답하지만 좋아서 좋았다고 하는 거니까... 어떤 것은 아리고, 어떤 것은 해맑고, 어떤 것은 서글프고, 어떤 것은 곱고, 어떤 것은 아프지만... 다들 그 안에서 성장하는 무엇들이 그냥 응원하고 싶어지게 만드는 힘이 깃들어 있다.)

이번 작품은 ‘스파클’.... 너무 아리고 마음이 아프면서도, 함부로 말을 건넬 수 없지만 .... 등장하는 모든 인물에게 조용히 손을 내밀고 따뜻하게 안아주고 싶었던 작품이다.

‘스파클’의 주인공 유리는 의대 입시를 꿈꾸며 수학, 과학을 열심히 준비하던 예비 고등학생이다. 중3 겨울방학 할 것이 태산인데 유리의 ‘눈’에 문제가 생긴다. 사실, 유리의 눈은 5년 전 사고로 인해 누군가의 각막을 이식한 상태다. 이식한 눈에만 ‘눈’같은 것이 계속 보인다. 5년 전 사고는 유리와 주변의 삶을 송두리째 바꾸어 놓았는데 동생 ‘배영’은 그날 사고로 식물인간 상태로 계속 누워있고, 기장이었던 아빠는 모든 것을 중지하고 동생의 간병을 도맡았으며, 승무원 엄마는 이혼 후 함께 살지 못 하고 있다. 동경하던 어머니 아버지의 현실에 대한 씁쓸함과 슬픔, 사고 당시 자신을 버리고 동생만 데리고 나갔던 할머니에 대한 불신과 반감에다가 사고에 대한 죄책감 등으로 동생의 병실에는 계속 가지 못 한 상태이고 항상 씁쓸함과 우울감이 함께 한다. 그러나 자신의 죄책감, 우울감은 살아남아 멀쩡히 머리를 쓰고 눈이 보이는 행운을 잡은 자신 “수혜자”에게 사치처럼 느껴져 누군가에게 말할 수도 없는 날들을 보내고 있다.

그런 와중에 이식받은 ‘눈’에 찾아온 문제는 자기 삶에 풀어야할 미지수 X로 여겨져 자신의 기증자를 찾아보기로 결심한다. 그러면서 알게 된 것은 ‘크리스마스의 악몽’이라는 이름이 붙은 뇌사자 당시 고등학생이었던 ‘이영준’(지병을 앓던 고등학생은 크리스마스에 다섯 명의 기증자에게 기증..... ) 그 사람에 대해서 알기 위해 찾아본 ‘하늘로 보내는 편지’(기증자에게 편지 쓰는 사이트)를 둘러보다 영준에게 편지를 쓰는 ‘시온’에 대해 알게 된다. 시온이 영준에게 보낸 편지를 하나하나 읽으며 영준이 어떤 사람인지 점점 알게 되는 유리. 시온의 편지는 떠난 영준을 기억하는 문장으로 가득하다. 유리는 영준이 좋아했다는 책을 읽고, 시온이 영준을 기억하려 들르는 벤치에 눈 오리를 잔뜩 만들어 두고, 하천을 바라보며 시온의 편지를 낭독하기도 한다. 오 년 전부터 이루어졌어야 하는 기억의 행위를 유리는 뒤늦게 시작해 나간 셈이다.


그 마음은, 그러니까 실은 미안한 마음이었다. 나의 행운이 누군가에게는 불행이라는 것. 그건 내게도 아픔이니까. (88면)


편지로 인해 만나게 된 유리와 시온은 영준의 눈으로 그의 고향을 보고 싶은 마음에 함께 ‘제주도’로 떠나게 되고 그러면서 ‘영준’의 꿈과 자신들의 꿈에 대해서 생각해 보게 되고... 멈추었던 삶의 의지와 방황하던 자신에 대해 다시 돌아보게 된다. 그러면서 내 안의 눈부심을 바라보게 된다.

이야기가 끝날 무렵, 영화처럼 드라마처럼 동화처럼... 대단한 기적은 일어나지 않는다.

아.... 너무 눈부시고 찬란한 작품이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또 흔들리겠지만 비행기가 착륙할 때 기울어지듯이 어딘가로 기울어지는건 수평을 맞추기 위한 노력이라는 걸 알게 된 아이들. 부서진 균열 사이로 성장이라는 찬란한 빛이 들어온다는 사실을, 그 시린 눈부심에 순간 눈을 감겠지만 다시 눈을 뜨는 게 삶이라는 것... 시린 계절을 통과하는 모든 이에게 권하고 싶은 빛같은 이야기.... 읽는 동안 행복했다.

나는 성장통에 관심이 많다. 아파하고 괴로움속에서도 한 걸음 나아가는 모든 이들은 아름답고 그 자체로 반짝반짝 빛이 난다.

이 책의 아이들도, 그리고 어른들도... 모두 행복하고 안온하기를 바래보던 오후...

좋은 구절도 참 많았다. 그래서 남겨볼게.


행운을 믿는 게 나한테는 너무 어렵다 p.30

긴 겨울 방학에 눈사람 같은 일일도 생겨서 다행이야 p.48

어떤 답도 낼 수 없는 게 이 수식의 함정이었다. p.54

나는 눈을 감았다. 눈꺼풀이 눈송이를 밖으로 밀어냈다. 뜨겁게, 아프지만 찬란하게. p.104

우리는 다 실패했다. 난 나대로, 아빠는 아빠대로, 엄만 엄마대로, 할머닌 할머니대로, 좋아하는 걸 포기하고 살면서. p.114

그런 믿음은 어디서 오는 걸까, 물었을 때 엄마가 했던 말이 있다.

“그런 믿음은 희망에서 오지.” p.133

사람들은 흔들리는 것을 굉장히 무서워하지만 중심을 잡으려면 흔들림은 필연적이래. p.161

나에게도 꿈이 생길 것 같아 p.174

우리는 분명 행복했었다.

“앞으로도 그럴 수 있다.”

나는 결심처럼 이야기했다. p.177

오기가 났다. 원하는 대로 살 것이다. p.188

행운을 믿는 게 나한테는 너무 어렵다 p.30



긴 겨울 방학에 눈사람 같은 일일도 생겨서 다행이야 p.48



어떤 답도 낼 수 없는 게 이 수식의 함정이었다. p.54



나는 눈을 감았다. 눈꺼풀이 눈송이를 밖으로 밀어냈다. 뜨겁게, 아프지만 찬란하게. p.104



우리는 다 실패했다. 난 나대로, 아빠는 아빠대로, 엄만 엄마대로, 할머닌 할머니대로, 좋아하는 걸 포기하고 살면서. p.114



그런 믿음은 어디서 오는 걸까, 물었을 때 엄마가 했던 말이 있다.

"그런 믿음은 희망에서 오지." p.133



사람들은 흔들리는 것을 굉장히 무서워하지만 중심을 잡으려면 흔들림은 필연적이래. p.161



나에게도 꿈이 생길 것 같아 p.174



우리는 분명 행복했었다.

"앞으로도 그럴 수 있다."

나는 결심처럼 이야기했다. p.177




오기가 났다. 원하는 대로 살 것이다. p.18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