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에게 오는 건 사람이 아니라 사랑이야
아오야마 미치코 지음, 이경옥 옮김 / 빚은책들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작가님은 그러니까 정말 우연찮게 목요일에는 코코아를을 보다가 알게 되었다.

어느 순간 익숙해진 전자책으로 전자도서관에서 빌리게 된 책... 코코아가 맘에 들어 빌렸는데... 정말 내 취향이었다. 너무 이쁘고 아기자기한 이야기들이 여러개 나오고 그 아이들이 연결연결되는데 하나같이 따뜻하고 고운 이야기여서 읽는 동안 행복했다. 그 뒷편 월요일의 말차카페도 좋았기에 이 작가님의 이야기는 다 찾아 읽어야겠다고 다짐하게 되었다. 그래서 이 책이 나왔을 때 다급하게 찾아 읽었다.

 

이 분은... 일본서점대상에 2년 연속... 2위라고...

 

이 책은 호주에서의 어떤 이들의 만남부터 시작한다. 그들의 시작.. 그리고 그림...

이 책에서는 습작, 초벌 그림의 뜻을 가진 초상화 에스키스가 화가를 떠난 이후 사람들 사이를 흐르며 사랑의 증거로, 자신을 비춰보는 거울로, 미래를 위한 길잡이로 바뀌는 모습이 그려진다. 본 그림을 위해 그리는 에스키스몇 번이라도 어디서라도 새롭게 시작하는 게 가능하다는 과 닮았다. 사람의 인연을 소중히 여기는 저자는 삶이 바뀌는 특별한 순간을 관계로 풀어낸다. 금붕어와 물총새는 교환 학생으로 멜버른에 온 레이와 현지 대학생 부의 끝이 정해진 기한부 연애 관계를 담았고, 도쿄 타워와 아트센터는 무명 화가 잭의 그림에 반해 진로를 바꾼 소라치가 느끼는 예술가와 장인, 작품과 장인의 관계를 묘사했다. 토마토 주스와 버터플라이피에서는 천재 만화가 스나가와와 그를 잠시 가르쳤던 다카시마의 사제이자 경쟁자이자 동반자인 관계를 그렸고, 빨간 귀신과 파란 귀신은 익숙함을 핑계로 헤어졌다가 여권을 계기로 1년 만에 연락하게 된 두 사람의 어색하면서도 편안한 관계를 담았다. 에필로그는 이 작품을 하나의 원으로 완성하는 화가와 그림의 관계를 보여준다.
호주와 일본으로 공간과 시간을 넘는 그림의 여정, 하나의 그림을 보는 사람마다 다른 감상, 각 단편의 제목과 주요 등장인물의 색 대비, 단편 속 화자들을 나타내는 색깔, 과거의 만남과 현재의 재회(만남)’, 곳곳에서 살짝살짝 드러나는 단편 간의 연결성, 마지막 반전이 선사하는 새로운 풍경이 이 책을 두 번 읽고 싶게 한다.
한 권의 그림에 여러 마음이 담기고, 한 권의 소설을 다르게 읽을 수 있듯 너에게 오는 건 사람이 아니라 사랑이야는 무료한 나날과 익숙한 관계 속에 숨어 있는 새로운 색깔을 찾아준다.

 

여기 이 책의 4가지 제목의 이야기에는 공통적으로 <에스키스>라는 그림이 나온다. 모든 이야기에 스쳐 지나가듯 나오는 이 그림과 인물들은 관련이 없는 듯 하면서도 마지막 <에필로그>에서 다 정리가 되는데... 아마 <에필로그>가 없었다면 나는 이들의 관계를 잘 몰랐을 것 같은데... 암튼 공간과 시간을 넘는 그림의 여정과 그림을 배경으로.. 또는 관련된 사람들의 관계성이 참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