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프티 피플 - 2017년 제50회 한국일보문학상 수상작
정세랑 지음 / 창비 / 2016년 11월
평점 :
절판


피프티 피플

 

정세랑 작가님

 

직전 넘 읽기 난해한 작품을 읽고 난 뒤라 독서는 여기서 멈추고 뭔가 새로운 것을 해볼까도 생각했지만, 앞으로 바빠질 일이 뻔히 보이고 이래저래 책도 많이 마련해 놓은 상태라 지금 아니면 당분간 독서는 힘들 것 같아... 이 기분 어떻게 달랠지 고민하다가 가장 재미있을 것 같은 작품, 내가 이런 날을 위해 아껴온 소설을 꺼내 들었다.

정세랑님 피프티 피플’... 한동안 계속 봐서 이러면 안 되겠다 싶어 미루어 두었던 그 작품.... 사실 줄서 있는 작가님 작품이 2개 더 있는데(아주 얇고 안 유명한 책이라... ) 그래도 뭔가 이게 재미있을 것 같아서 펼쳤다. 결론, 정말 좋은 선택이었다. 여기서 막힐 뻔한 독서 릴레이를 이어줄 뿐 아니라 속도를 더욱 내게 만들어준 좋은 작품이다.

 

이 책은 그야말로 50명 사람들 이야기다. (작가님이 사실은 51명이랬다. 나도 새어 봤다. 이래저래 등장하는 사람 치면 조금 더 많기도 하다.) 주인공이 없는 이야기를 쓰고 싶다는 그녀의 의도가 그대로 들어간 정말 한 명 한 명의 꼭지를 만들어 읽다보면 퍼즐처럼 이어지는 정말 독창적이고 유니크하고 재미있는 작품이었다.

이름을 모르겠지만 서울에서 제법 먼 중소도시(그래도 수도권인 것 같아) ... 공단이 옆에 있고 개발이 엉망으로 진행되고 있는 지역의 어떤 오래된 병원(아무리 봐도 이름도 없어)의 이렇게 저렇게 이어부치고 계획없는 건축과 낡은 시설들을 그나마 좋은 인력으로 때우고 있는 병원과 그 옆 가게(극장) 등과 관련된 사람들을 하나하나씩 이야기하고 있는데, 처음에는 그냥 한 명씩의 이야기인가 했다.(예전에 웨딩드레스 44’를 읽고 그냥 그렇게 생각했다. 이 이야기의 첫 이야기는 가장 다른 이야기와 연관성이 없는 이야기로 출발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두 번 째 이야기에 잔혹한게 나와서 이거 이대로 덮어야 하나 하고 겁을 먹기도 했었다.) 그러나 이야기 하나 하나가 진행되면 진행될수록 작품 간의 연관성이 꼬리에 꼬리를 물며 퍼즐이 맞춰진다. 그러고 보면 거의 처음과 끝이 소현재가 나왔구나.... 작가 님의 여러 가지 큰 그림이란....이 소설은 정말 작품이다. 주인공이 따로 없으면서 한 명, 한 명이 다 주인공이고 모두가 입체적이고 납득이 되는 그야말로 모두 캐릭터가 살아 있었다. 많은 인물들이 몇 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매력적이고 좋은 사람들이 많았다. 누가 가장 좋았을까 말하기 힘들만큼 멋진 사람들....천재소녀 유채린이 멋지고 김혁현 님과 잘 되길 바라며, 매력적인 진선미님 나도 뵙고 싶고, 슈크림 교수 님 이호 님같은 어르신을 뵙고 싶고, 이설아 님의 단단하고 견고함이 멋지고, 서연모와 남세훈 젊은이들을 응원하며, 조양선 님과 장유라 님의 옆에서 힘이 되어 주고 싶었으며, 오정빈과 정다운의 성장을 지켜보고 지원해주고 싶었고, 정리 못 하고 그나마 요리 잘 하는 나의 대척점에 있는 공은영님 정말 대단하다고 칭찬해주고 싶고, 권혜정 님의 봉춤 나도 보고 싶다. 작가 님은 세상을 사랑하시는가 보다. 사람들의 장점을 볼 줄 아는 사람인 것이다. 그렇지만 부조리하고 답답한 세상에는 할 말을 하시고 이야기 속에서 사람보다 경제, 효율만 앞세워 일어나는 여러 가지 사건 사고, 재난, 차별, 인권, 환경에 대한 이야기 등 담을 수 있는 다양한 이야기들이 담겨있다. 페미니즘이니 환경이니 인권이니 여러 가지 의미와 주제들을 이렇게 자연스럽게 이야기에 녹여내는게 작가 님의 특장점이다. 암튼, 바라는 것은 한 가지....작가 님 길게 오래도록 글 많이 써주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