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사화로 보는 조선역사
이덕일 지음 / 석필 / 1998년 1월
평점 :
품절


 
사화로보는.gif
 
 
 
 
 
 
 
 
책, '사화로 보는 조선역사' / 이덕일 저
 
 


정몽주~
 
고려의 대표적인 충신으로 알려진 인물~
 
최후까지 고려를 지킬려고 한 인물~ 
 
과연 그 신화가 사실일까요 ? ㅋㅋ
 
결론은, 정몽주는 최후의 순간에만 역성쿠테타를 이끈 이성계 집단에게 반대를 했을 뿐, 그 이전까지는 이성계와 동지였다는 사실이다~ ㅋㅋ 그럼 그 증거를 한번 볼까요 ?  / 참고로, 저는 초중고교 시절에 정몽주의 이런 과거가 있다는 것을 역사 시간에 들은 적이 없습니다. ㅋㅋ 저 대입고사에서 국사 1개 틀렸습니다~ 오로지, '정몽주 = 고려의 마지막 충신' 으로만 배웠던 것입니다~ ㅋㅋ


 
정몽주
1.  정도전과 동창. / 이색의 제자들
2. 정도전과 달리, 집안은 귀족 출신
3. 만20세에 시험 합격.(공민왕 6년) / 23세에 문과에 장원급제 / 25세에 예문관 검열 수찬으로 화려하게 관문 입성
4. 대표적인 친명파이자, 명나라와 정통한 외교관
5. 명나라 사신으로 갔다 오다가 난파를 당해서 12명이 익사하고 여러명이 실종된 사고에서, 정몽주는 13일간 바다에 표류하면서 구조되었는데, 이때 가슴속에 국서를 간직하고 있었다는 것이 명나라 태조 주원장에 알려지면서, 명나라에 신임을 얻게됨
6. 왜구문제로, 일본의 쿠슈에 파견되어서, 인질로 잡혀있던 700여명이 고려인과 함께 귀국하는 외교적 성과를 거둠
7. 정몽주는 이성계-이방원일파에게 살해되기 직전까지 아주 우호적인 사이였다.
8. 정몽주는 위화도 회군을 찬성했다.
9. 외화도 회군후, 이성계가 우왕과 창왕을 폐하는데도 동조했다.(이 두왕은 결국 사약먹고 죽음)
10. 공양왕 옹립할 때도 정몽주는 적극 찬성했다.(공양왕은, 공손하게 임금자리를 양도했다고 해서 붙여진 고려의 마지막 임금이다. 그도 역시 몇년후 이성계에의해  아들/손자와 함께 목졸려 죽는다)
11. 정몽주는 공양왕을 옹립한 공으로, '문하찬성사 동판도평의사사 호조상서시사 진현관대제학 지경연춘추관사 겸 성균관대사성 영서운관사' 라는 긴 이름의 관직을 제수받는다.
12. 또한 임금을 폐하고 다른 임금을 옹립한 공으로 공신이 된다.
13. 정몽주가 이성계와 정적으로 돌아선 것은, 이성계 일파가 공양왕마저 폐하고 새 왕조 개창을 노골화하려 할 때였다. 즉, 정몽주는 이성계를 임금으로 만드는 것만은 반대했던 것이다.
14. 그러나, 위화도 회군을 할 때부터, 조선왕조의 개창은 이미 결정난 사항이었다. 이를 지지한 정몽주가 할 말이 있을까 ?
15. 정몽주는 이성계의 아들인 이방원에 의해서 죽음을 당하는데, 이방원(후의 조선 태종)은 정몽주가 죽은 지 13년 후인 1405년에 권근의 주청을 받아 들려 정몽주에게 시호를 추증한다. ==> 이방원 자신이 죽인 정몽주를 13년 후에, 이방원은 정몽주를 충신으로 만든 것이다. 이는 새로운 왕조인 조선이 성립이 되고서는, 이제는 정몽주같이 끝까지 왕조에 충성하는 신하가 필요했기 때문에, 그를 일종의 영웅/우상화 작업을 한 것이다 ㅋㅋ
 
p.s.
조선초기 국호를 정하기 위해, 이성계는 '조선'와 '화녕' 2가지를 명나라에 보내 선택하게 했다. 조선은 고조선을 잇는 의미였고 화녕(和寧)은 이성계의 고향 이름이었다.
이때, 명나라는 '조선'을 선택하는데, 그 이유는, 신생국 조선은, '기자조선'의 후예라는 의미로 선택하게 된다. 즉, 이성계의 조선 신생국은, 기자조선의 후예이니, 대대로 명나라에 충성하라는 의미로 '조선'을 선택하게 된다. ㅋㅋ
 
참고로, 현재는 '기자조선' 설은 거의 부정이 된다. 그러나 500여년전에는 널리 알려진 것이었고, 특히가 유교/성리학적인 관점에서 사대주의가 힘을 얻던 시기여서, 우리민족 스스로가 기자조선의 후예임을 인정하기도 한 시기였다. ==> 지금 미국의 51번째 주임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것이랑 뭐가 다르겠는가 ? ㅋ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역사의 수수께끼 3 - 우리 역사를 바꿀 19가지 오해와 진실
이덕일. 김병기 지음 / 김영사 / 200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부녀 간강죄로 폐세자 된, 세종의 형 양녕대군~ 

 

참고 서적 :
 
우리 역사의 수수께끼 1~ 3
사화로 보는 조선역사 / 이덕일
 
 
제가 초중고교 때, 역사시간과 TV 드라마에서(용의 눈물, 설중매 등), 태종의 맏아들이자, 3째 세종의 형이었던 양녕대군이 일부러/스스로 세종이 왕이 되게 할려고 왕위를 넘겨주었다는 식으로 배웠습니다.~
 
어째서, 이런 웃긴 얘기가 사실인 것 처럼 역사시간과 책 , 그리고 방송에서 나올수가 있었을까요 ?
 
결론적으로, 사실적으로 양녕대군은 스스로 세자를 물러난 것이 아니라 쫓겨난 것입니다. 여러 죄가 있지만, 유부녀 강간죄 등으로 말이죠~ ㅋㅋ
 
 
양녕대군은 지금 표현대로 말하자면, 좋게 말하면 잘노는 재벌집 후계자였고, 나쁘게 말하면 부자집에 여자좋아하는 망나니였다는 것이죠~
 
그럼 그가 왜 세자에서 좇겨난는지 한번 몰까요 ? ㅋㅋ
 
1. 유부녀 강간 / 세자 나이 24살 때
사대부 양반의 첩이었던 어리가 예쁘다는 소식을 듣고, 그녀를 납치해와서 강간한다. 그녀는 '나는 병이 있고, 남편이 있는 부인이라며 ' 거부했으나 강간했다.
참고로, 조선시대에서 양반 사대부의 첩도, 부인으로 인정해서 마음대로 할 수 없었고, 이는 국법이었다.
 
2. 창녀를 들인 죄
태종 14년(세자 나이 21살) 밤에 창기를 들인 것으로 문제화 됨
 
3. 위 일이 있고 난 몇개월 후, 청평군 이백강의 연회에서 기생과 방종하게 놀아 핀잔을 받았다.
 
4. 삼촌(정종)의 여자와 놀아남~
태종 15년, 기생 초궁장과 놀아나다 문제를 일으킴. 그런데 초궁장은 태종의 형이자 상왕인 정종의 여자였기 때문이다. 즉 삼촌의 여자를 탐한 것이다. 이 사건은 양녕대군이 초궁장이 정종(상왕)의 여자라는 사실을 몰랐다고 발뺌하여 초궁장만 쫓겨나는 것으로 무마 됨.
 
5. 태종 13년 2월(양년 20살) 때, 평양기생 소앵과 놀아나다가 중관이 김매경,박수기 등이 대신 치죄당하는 기록이 실록에 나온다.
 
즉, 세자 양녕대군은, 정사와 야사를 막론하고, 학문을 싫어하고 사냥이나 여색을 좋아했다는 기록이 일치한다.
 
6. 양녕대군은, 외삼촌인 민무휼, 민무회를 죽이는 직접적인 장본인이었다.
즉, 기생 초궁장 사건 바로 다음달에 (위 사건 4),  외삼촌인 민무휼/민무회 가 반역을 꾀했다며 태종에게 고했는데, 그 내용도 2년전의 사석에서 있었다는 얘기였다. 이 사건으로 외삼촌인 민무휼/민무회는 귀양갔다가 사약을 마시고 죽게 되는데, 이는 기생 초궁장 사건으로 궁지에 몰린 양녕대군이 두 외삼촌을 희생양으로 삼아 궁지를 벗어나고자 한 것이었다.
 
7. 왕(태종)에게 여자 문제로 대든 양녕대군 / 양녕 25세 때,
초궁장 문제로 세자의 문제가 계속 크게 되자, 양녕은 태종/아버지에게 직접 글을 써서 항의한다. 그 주된 내용은,
"왕/태종/아버지는 궁궐에 여자를 마음대로 가지고 놀면서, 세자인 자기는 왜 안돼냐는 것이었다 " ㅋㅋ
 
결국, 태종은 세자 양녕대군을 폐세자 시키고, 2달만에 세째 아들인 세종을 왕위에 올린다.
 
8. 양녕의 폐세자 된 이후에도, 계속해서 여자문제를 일으켰다., 즉 남의 여자/첩을 빼앗으려 들려고 하였다.
 
그러나, 세종은 계속되는 양녕의 이런 행위에도, 그리고 그를 탄핵하자는 조정 신하의 주장에도, 친형 양녕을 끝내 보호해 준다. 죽이지 않고 끝내 보호해준다. 넓은 아량으로 말이다.
 
이런 동생 세종의 아량을, 양녕대군은 동생 세종의 자식들을 이간질시키고, 서로 죽이게 하는 것으로, 양녕이 세자를  세종에게 빼앗긴 것을 복수하고 만다.
 
즉, 양녕은 세조/수양대군에 붙어서, 수양의 친동생 안평대군을  2차례나 죽이라고 청해서, 결국 죽게 만들었고, 세종이 그렇게 사랑했던, 장손자 단종도 죽이라고 3번이나 죽이라고 청해서, 결국  단종도 죽게 만든 장본인이었다.
 
즉, 양녕은  세자 자리를 세종에게 빼앗긴 그 원한으로, 세종의 자식들이 서로 싸우게 만들고, 서로 죽이게 앞장서서 만들었다.  세종은 양녕의 그 많은 문제에도 아량으로 살려주었으나, 양녕은 그이 동생 세종 자식/손자들을 죽게 만든 것으로 복수한 것이다~ ㅋㅋ
 
양녕이 스스로 세자를 물러나서, 세종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는 것은 새빨간 거짓말이고, 양녕은 여자 엄청 좋아하고, 공부 싫어하고, 은혜를 복수로 갚은 그런 사람이었다. ㅋㅋ
 
그는 목숨도 길어서 69세에 죽는다 . 그의 묘가 상도동에 있는데, 나는 자주 지나가는데, 갈때마다, 침을 뱉는다. 그의 묘에게 ㅋㅋ
 
양녕이 스스로 착하게 세종에게 왕위를 넘겨주었다는 거짓 역사를 배웠던 나의 초중고교 때의 그 속임수 교육에 대한 , 그 반감으로 말이다~ ㅋ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교양 한국사 2 - 고려의 건국에서 조선 훈구파의 집권까지, 고려- 대륙과 해양에서 세계를 만나다 교양 한국사 2
이덕일 지음 / 휴머니스트 / 2005년 7월
평점 :
절판


식민사관에 속고, 배경설명없이 외우기만 했던 역사~ 이제 이덕일이 너무 재밌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교양 한국사 3 - 사림의 등장에서 대한제국의 멸망까지, 인조반정 이후의 조선을 다시 본다 교양 한국사 3
이덕일 지음 / 휴머니스트 / 2005년 7월
평점 :
절판


식민사관에 속아왔고, 배경설명 없이 외어만 와서 재미없던 역사~ 이덕일이 해결책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교양 한국사 1 - 단군조선에서 후삼국까지, 식민사관을 벗고 고대사의 원형을 복원한다 교양 한국사 1
이덕일 지음 / 휴머니스트 / 2005년 7월
평점 :
절판


그동안 속아왔던 식민사관에서 벗어나서 제대로 우리 역사를 보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