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격담, UFO는 어디서 오는가 크로스로드 SF컬렉션 4
이영수(듀나) 외 지음 / 사이언티카 / 2010년 12월
평점 :
절판


 

 

작년 언젠가부터 스릴러(혹은 추리소설)를 읽는 횟수가 많아졌습니다. 일부러 찾아서 읽는 건 아닌데, 눈길이 가는 책이 대부분 스릴러나 추리소설로 분류가 돼 있더군요. 추리소설이나 스릴러가 ‘장르문학’에 포함된다는 것도 어쩌다 알게 됐습니다. 그런데 장르문학이라는 말이 애매하더군요. 순문학에 대비(?)되는 의미인 것 같기는 한데, ‘이런 뜻이구나’하고 명확하게 이해되지가 않는 겁니다.

장르문학, SF, 판타지, 스릴러, 추리, 공포... 장르문학도 여러 가지로 나눠지더군요. 가끔 ‘본격, 신본격’이라는 말도 들립니다. ‘사회 현실에서 제재를 구하고, 작가는 제삼자적 관점에서 사건의 진전이나 인물의 움직임을 객관적으로 다루어 구성한 소설’을 본격소설이라고 한다는 데, 설명을 읽어도 잘 모르겠더군요. “재밌으면 그만이지 장르를 나누는 게 뭐 그리 중요하겠어?”하고 생각하며 <목격담, UFO는 어디서 오는가>를 읽기 시작했습니다.

인터넷서점에서 나눠놓은 걸 보니 이 책은 ‘판타지’에 속하기도 하고 ‘SF’에 속하기도 하더군요. 문득, SF는 어떤 내용의 책을 말하는 건지 궁금해졌습니다. 우주를 배경으로 외계인이나 우주괴물이 등장하면 SF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러면 SF의 'S'는 ‘space’의 첫글자를 따온 것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러다 SF를 찾아보니 ‘science fiction’을 줄인 말이더군요. 우리말로 풀어놓으면 ‘공상 과학 소설(영화)’라고... SF의 뜻을 알고 나니 <물구나무서기>와 <사랑 그 어리석은>, <전화 살인>, <관광지에서>가 SF에 들어가는 이유를 알 수 있었습니다. 우주를 배경으로 하지 않았다거나, 외계인이 나오지 않아도 SF일 수 있는 것이니까요.

<우주와 그녀와 나>, <시공간-항(港)>, <수련의 아이들>, <물구나무서기>, <백중(百中)>, <목격담, UFO는 어디서 오는가>, <사랑 그 어리석은>, <달에게는 의지가 없다>, <전화 살인>, <관광지에서> 10작품 모두 작가님들의 상상력에 감탄을 하면서 읽었습니다. 특히 <시공간-항(港)>과 <목격담, UFO는 어디서 오는가>를 읽을 때는 감탄이 절로 나오더군요. 사회문제에 대한 비판이 담겨있는 글도 좋았습니다. 힘없고 돈없는 노동자의 어이없고 안타까운 사연이, 미래가 아니라 지금의 인권문제를 말하고 있는 듯하더군요.

우리나라 SF작가님들의 글을 처음 읽었습니다. 어쩌면 제대로 된 SF가 처음이었던 것도 같습니다. SF라는 장르가 어떤 영역(?)인지 살짝 알 것도 같습니다. 어느 장르의 글을 쓰는가 와는 상관없이, 작가님들의 상상력에는 특별한 뭔가가 있는 것 같습니다. SF를 쓰는 작가님들의 상상력에 감탄하며 책을 덮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