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라카미 하루키 작가의 신작 <기사단장 죽이기> 혹은 <기사단장 살인>이 올 여름 문학동네 번역판으로 나옵니다. 하루키는 노벨상 후보로 자주 거론되는 동시에 대중적인 큰 인기를 얻은 작가입니다. 4년 만의 신작이라 화제가 되었고, 올해 초 일본에서 출간 당시에 우리나라 언론도 비중있게 다뤘습니다. 주말 아침에 어떻게 되었는지 문득 궁금해져서 검색을 했습니다.
<기사단장 죽이기>는 아내와 이별한 30대 초상화가가 모차르트의 오페라 돈 지오바니를 묘사한 그림 '기사단장 죽이기'에 얽혀 불가사의한 체험을 겪는 내용입니다. 하루키 특유의 개성이 잘 녹았다는 평입니다.
작품 속 인물이 난징대학살을 언급하여 일본 우익 세력의 비난을 받았습니다. "매국노"라는 비하까지 당했다고 합니다. 하루키는 2015년 한 인터뷰에서, "사죄는 부끄러운 일이 아니다. 과거 일본의 침략 사실을 인정하고 상대국이 됐다고 할 때까지 사죄해야 한다"고 소신을 밝혔습니다. 소설가로서 작품을 통하여 왜곡된 역사와 맞서 싸우겠다는 입장을 고수하는 만큼, 이번 신작은 작가의 역사 의식이 깃들었다고 봐야겠습니다.

http://www.ajunews.com/view/20170402185853826
무라카미 하루키는 우리나라에도 이른바 하루키스트라 불리는 고정 팬층이 두터워서 최고의 선인세를 받는 작가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본에선 1, 2권 초판만 130만 권 찍었고 베스트셀러에 오른 덕분에 한때 출판계에서 선인세에 대한 추측이 난무했습니다.
한간에선 30억을 호가하리라 예상했답니다. 20억 원 지불할 경우 최소 100만 부 이상을 판매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출혈 경쟁을 부정적으로 보기도 합니다. 과열 금전 경쟁이 출판 생태계에 도움이 안 되고 우리나라 작가에 대한 처우와 비교하여 지나치다는 입장입니다. 선례를 보면, <1q84>의 경우 9억 가량이었고 총 200만 부 이상의 성공적인 판매고를 올렸습니다. 반면에 <색채가 없는 다자키 쓰구루...>는 16억 정도를 지불했으나 약 50만 부만 판매하였으니 적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본 현지는 <기사단장 죽이기>가 50만 부 선에서 판매량이 꺾였다는 정보도 있던데, 정확히는 모르겠습니다.
다섯 곳의 중대형 출판사가 경쟁에 참여했고 더 큰 금액을 제시한 회사가 있었지만 <1q84>를 200만부 넘게 판매한 이력과 출판사 명망 덕분에 문학동네가 선정되었다는 후문입니다. 우리나라 번역본도 두 권 이상의 시리즈로 나올 예정입니다. 아마 <1q84>와 비슷한 양장본 형태로 제작되어 하루키스트의 소장 욕구를 자극하리라 짐작됩니다.
고액 선인세 논란은 우리나라 독자의 뜨거운 팬심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하루키의 작품에 물려서 손을 안 댄 지가 꽤 되었습니다. 겉으론 무던해 보이지만 고독한 남성 주인공, 몽환적이고 때로는 비현실적인 세계와 주제의식, 작품에 드러나는 작가의 문화적 취향 등 그의 작품에 빠져들게 했던 매력 요소들에 오히려 질렸다고 해야할까요. 그런데 <기사단장 죽이기>는 4년 만에 나온 장편이라 공백기 덕분인지, 주인공이 미스테리한 사건을 겪으며 하루키식 치유를 경험한다는 소개 덕분인지요. 내심 기대가 됩니다.